송도국제병원 설립 ‘진통’

인천경제청 “외국인 정주여건 조성”vs시민단체 “의료민영화 부추겨”

송도국제병원이 의료민영화로 가는 시발점이 될 것인가를 놓고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이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입장차만 재확인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주최로 지난 27일 인천YWCA 대강당에서 열린 ‘송도영리병원도입과 인천지역보건의료정책 토론회’에서 인천경제청은 송도국제병원이 설립된다 하더라도 공공의료 체계를 훼손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을 내놓았다.

 

임병익 인천경제청 의료지원팀장은 “송도국제병원은 송도경제자유구역에 외국인 투자를 끌어들여 세계 3대 경제자유구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의료, 교육 등 핵심적인 정주여건이 될 뿐만아니라 병원, 연구소, 대학, 기업 등을 연계한 산학연 연구단지의 핵심시설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임 팀장은 “송도국제병원은 공공의료 체계를 훼손할 것이라는 시민단체들의 우려와는 달리 오히려 인천지역 의료기관에 대한 의료서비스 수요가 증가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정수영 인천시의원은 “송도국제병원은 외국인 정주여건이라는 그럴싸한 포장을 둘러쓰고 있지만 의료산업화의 의료시장 개방, 의료수익 국외유출 등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를 허물어버릴 수 있는 영리병원”이라고 지적했다.

 

장정화 참의료실천단 단장은 “이미 송도에 외국인전용 세브란스국제병원이 들어서기로 돼 있고 나사렛병원 등 국제인증을 받은 병원도 갖춰져 있다”며 “송도국제병원은 의료민영화를 부추기는 영리병원 유치에 속도를 낼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주호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 전략기획단장은 “영리병원이 도입되면 자본경쟁이나 환자유치경쟁이 가속화하고 결국 의료비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송도영리병원 보다 의료인력을 확충해 공공 보건의료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