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주도형 물류공동화’ 확대 시급

인천 중소제조업체, 자재·완제품 보관공간 부족… 물류비 부담 가중

인천지역 중소제조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공공주도형 물류공동화 사업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인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인천지역 물류현황 및 물류공동화시설 확대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은 입지적으로 인천항과 인천공항을 안고 있어 운수업과 물류관련산업 비중이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중소 제조업체의 물류비 절감을 위한 기반시설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분석했다.

 

인천지역 물류산업은 공항물류 성장 영향 등으로 최근 5년간 기업체수 17%(전국 5%), 종사자수 10%(전국 5.3%) 매출액 34.6%(전국 29.1%) 등 전국 평균 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였지만 장비대수 및 창고수 성장률은 전국 42.9%보다 오히려 훨씬 낮은 7.6% 성장에 그쳤다.

 

특히 자체 물류처리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물류비용만으로도 매출이익이 대기업보다 평균 2.4%가 저하되는 취약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또 지역 중소기업들은 원부자재 및 완제품 등의 보관 공간이 부족하고, 물류 표준화나 정보화 종합적 관리체계가 미흡한데다 물류에 대한 인식이나 전문 인력까지 부족해 물류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지역산업의 12%를 차지하는 물류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중소기업 전용 물류 공동화 시설의 추가 건설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공공형 물류 공동화 확보 방안으로 남동산업단지 공동물류센터 인근 유휴부지, 제2유수지 매립시 해당부지, 아암물류2단지, 인천항 신항 배후단지 등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 내 유휴 부지 및 개발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류제홍기자 jhyou@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