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참나무 등 제한 원목만 고열건조 처리 일원화 시스템 구축·검역 기준 강화 한목소리
인천지역을 통한 전국 원목수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수입 목재로 인한 외래 병충해 방지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9일 인천항만연수원 등에 따르면 전국 원목수입량 501만3천㎡ 중 52.6%(지난 2009년 기준, 한국목재협회 발표)인 263만8천㎡가 인천항을 통해 수입되고 있다.
그러나 인천항을 통해 수입되는 수십종의 원목 중 소나무와 참나무 등 제한된 원목에 대해서만 병해충 피해 방지를 위한 고열건조처리(kilndry)와 나무 껍데기 제거 기준이 적용되고 있어 병충해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남동, 검단 등 인천 7개 지역 87개 장소에서 수입 목재류 검사가 이뤄지면서 인천 전 지역이 수입 목재로 인한 병해충 피해에 노출되고 있다.
육상운송하는 과정에서 도로에 떨어전 목재 껍질이 가로수와 과실수 등에 외래 병해충을 옮길수 있기때문이다.
수입 원목에서는 소나무가 말라 죽는 재선충과 과수 나무즙을 빨아먹는 꽃매미 등 외래 병해충이 옮겨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내년 초 인천 서구 원창동 북항 배후단지에 조성될 목재단지에는 일원화 된 방역시스템 구축과 수입 원목 검역 기준 강화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목재류 검사부터 훈증 소독까지 일원화시스템을 구축, 목재류 육상 운송에 따른 외래 병해충 유입을 사전에 예방·차단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역관리시스템을 도입해야한다.
남영우 인천항만연수원 교수는 “수입 원목에 의한 병해충 방지 비용으로만 한해 700억여원이 들어가고 있다”며 “선진국 수준의 검역 기준과 방역시스템을 갖춰 목재 운송 중 발생하는 병해충과 분진 등의 예방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현범기자 powervoic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