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지자체들 “광역선별장 건립 市가 나서라”

지자체, 업체들 독과점에 매년 처리비 인상 문제로 ‘속앓이’

인천지역 지자체들이 부지와 사업비 문제 등으로 자체 재활용폐기물 선별장 확보에 엄두를 내지 못하면서 시에 서둘러 광역선별장 건립을 촉구하고 나섰다.

 

27일 시 및 각 구·군 등에 따르면 현재 자체 재활용폐기물 선별장을 운영하고 있는 남동구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군은 재활용품 선별업체를 통해 재활용품을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내 재활용품 선별업체는 4곳에 불과하고 그나마 1곳은 주로 서울지역 재활용품을 처리, 업체들의 독·과점이 계속되면서 지자체들은 매년 계약할 때마다 선별비 인상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남구의 경우 오랜 동안 거래해왔던 H업체가 지난해보다 67% 인상된 t당 3만5천원을 요구, 최근 A업체로 바꿔 t당 2만4천100원에 계약을 맺었다.

 

다른 구도 사정은 비슷해 지난해보다 선별비를 올려 주면서 울며 겨자 먹기식 계약이 반복되고 있다.

 

문제는 각 구마다 자체 재활용품 선별장 건립을 계획하고 있으나 부지는 물론 수십억원에 이르는 사업비 확보가 쉽지 않아 수년 동안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구는 우선적으로 연수구 송도자원환경센터에 확보된 재활용품 폐기물 처리시설 부지와 서구에 추진 중인 수도권매립지 내 선별장을 광역화하는 방안에서 해법을 찾고 있다.

 

송도자원환경센터에 확보된 재활용품 폐기물 처리시설은 연수구와 남구, 중구 등의 폐기물을 처리하고 동구, 서구, 계양구, 부평구 등을 묶어 수도권매립지 내 광역선별장을 짓자는 것이다.

 

남구 관계자는 “이달 열린 구청장·군수협의회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돼 지자체 간 중복시설 설치로 인한 비용을 절감하고 안정적인 재활용선별작업이 가능하도록 시가 적극 나서 줄 것을 건의했다”고 말했다.

 

시도 이같은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지만 선별장을 광역화할 경우 1곳당 80~90t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 지어야 하는데, 초기 시설비가 최소 80억~90억원 들어 국비 30%를 제외한 나머지는 지자체 부담이다.

 

시 관계자는 “생활폐기물 등의 수집·처리는 해당 자치단체장의 고유 사무이나 각 구의 어려운 점을 감안, 시가 광역선별장 건립을 검토하고 있다”며 “사업비 확보도 문제지만 현재의 송도·서구 부지 이외에 더 적합한 부지가 있는지도 계속 물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