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재정지원 인색… 市 ‘허덕’
1조5천억대 지방채 발행… 타 시·도와 형평성 논란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인천AG)에 대한 정부의 행정·재정적 지원이 다른 지역 국제대회와 비교해 미흡, 인천이 소외받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24일 시에 따르면 건설비 2조534억원을 투입해 주경기장을 비롯해 경기장 53곳을 신설·개보수하고 훈련시설 53곳 등 AG 관련 시설들을 확보할 계획이다.
그러나 인천AG 개최를 3년 앞둔 시점에서 정부가 관련 예산 지원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전체 시설비의 77.2%인 1조5천858억원을 지방채로 조달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가운데 국비 지원은 고작 4천246억원으로 20.6%. 주경기장은 민자로 추진하려다 재정사업으로 바꿨는데도, 국비 지원은 단 한푼도 없다.
특히 조직위원회 운영비(6천54억원)와 민자(4천667억원), 자체 수입(2천180억원) 등을 모두 포함한 AG 총사업비(3조9천억원)에는 고작 17%인 6천504억원만 국가 지원을 받는 것이다.
반면 정부는 지난 2002년 부산AG의 경우 총 사업비 1조2천335억원 가운데 4천221억원(34%)을 지원해줬다. 이는 인천AG에 대한 국비지원 비율의 2배가 넘는다.
여기에 진입로 개설비와 경기장 개·보수비 등 특별교부세 210억원과 지방양여금 306억원까지 포함하면 국비지원 비율은 41.2%에 이른다.
올해 대구에서 열리는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도 사정은 마찬가지.
총 사업비 3천333억원 가운데 정부는 대회 필수시설이 아닌 마라톤 도로정비사업비 207억원 등 1천128억원(34%)을 지원해줬다.
육상진흥센터 건립비는 정부의 통상적인 국비 지원 기준(30%)을 이례적으로 깨고 전체 사업비 639억원 가운데 토지매입비와 용역비 등 60억원을 뺀 579억원(90%)을 지원해줬다.
국제대회에 필수적인 선수촌·미디어촌 건설비도 국비 지원이 이뤄지지만, 인천은 이마저도 받지 못해 정부의 보금자리주택으로 대체하고 체육공원도 대폭 축소하는 등 허리띠를 졸라 매고 있다.
다른 국제행사 개최 지역은 정부로부터 전폭적으로 지원받는데 반해, 인천은 초라하다.
박승희 시의원(한·서구4)은 “인천AG는 인천만의 잔치가 아니고, 국가의 위상과 자존심이 걸린 국제행사”라며 “인천시가 AG 개최와 관련해 예산 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정부도 보다 적극적으로 예산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