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방과후 돌봄 서비스 지원 시급

‘지역아동센터 지원방안’ 토론회… 지자체 전달체계 구축 등 지적

방과후 아동에 대한 사회적 돌봄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전달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자체나 지역단위 대안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유사 사업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한 지원체계도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시 지역아동센터 운영 지원 정상화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가 19일 남동구청 대강당에서 개최한 ‘지역아동센터 지원방안과 인천시 아동복지정책의 나아갈 방향 모색’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이향란 한국아동정책연구소장은 “아동이나 학부모가 방과후 서비스가 필요할 경우 찾아와 사정을 얘기할 수 있는 체계가 지자체별로 필요하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전달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며 이처럼 주장했다.

 

이 소장은 “방과후돌봄 서비스의 대상은 경제적 빈곤 아동은 물론 학교나 가정 등이 아동을 책임질 수 없는 시간대에 돌봄과 교육활동이 필요한 모든 아동이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시설 및 기관의 양적 확대와 예산이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의 지난 2009년 자료에 따르면 사회적 돌봄이 필요한 아동은 110만7천330명으로 지역아동센터, 방과후보육, 종일돌봄교실 등 방과후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아동은 21.8%인 24만903명에 불과하고 각 기관별로 지원받는 예산도 제각각이다.

 

윤귀염 ‘예꿈마을’지역아동센터 시설장은 “기관별로 돌봄 아동을 발굴하고 역할을 분담, 사각지대에 놓인 아동·청소년들이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정부가 재정문제로 지역아동센터를 신고제에서 인가제로 전환하려는 게 아닌지 의문스럽다”며 “인가제 전환이 지역아동센터의 정적성을 담보하고 수요에 기초한 공급을 유도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