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12억 규모 운영비 예산 확보 못해 지원 ‘스톱’… 내년도 불투명
조합 “달릴수록 손해” 운영난 호소… “서비스 질 엉망” 승객 불만
인천시 계양구 동양동에 사는 원모씨(32)는 18일 택시를 타기 위해 인천콜(인천시가 운영비 60%를 지원해주는 콜택시 서비스)을 불렀지만 온다는 택시는 30분이 지나도록 오지 않았다.
원씨는 수차례 콜센터에 통화를 시도했지만 실패하자 결국 15분을 걸어 나온 후에야 계양역 인근에 서있는 인천콜 10여대를 발견, 탈 수 있었다.
원씨는 “인천콜이 이용하기 편하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큰 길에서 조금만 멀면 불러도 오지 않는다”며 “차라리 콜비를 주고 다른 콜택시를 이용하고 싶다”고 말했다.
시는 지난 2009년 14억원을 들여 택시브랜드 강화를 위해 택시업체 57곳이 참가한 가운데 인천콜을 설립, 매년 운영비 60%로 12억원을 지원해주다 올해부터 재정난을 이유로 지원을 중단했다.
이후 시가 대중교통 서비스 향상을 위해 설립한 인천콜의 운영여건 악화와 서비스 질 하락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콜을 요청해도 취소가 가능, 장거리는 외면하고 번화가나 역세권에만 몰리는 등 서비스 개선이 쉽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인천콜을 운영하고 있는 택시운송사업조합(조합) 역시 운영여건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콜 요금 1천원을 받지 않아 월 수입 2억5천만원 등을 감수하고 있지만, 운영비 60%를 부담하던 시의 지원 중단 이후 업체들이 1대당 운영비 6만여원을 모두 부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콜에 참여하고 있는 택시업체 57곳은 전체 택시 2천600대 가운데 30%를 반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조합도 콜 요금 1천원을 부활시키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결국 시가 브랜드 택시로 출범시킨 인천콜이 서비스 질 악화와 운영여건 악화 속에서 좌초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조합 관계자는 “운영비 지원 중단 이후 운전기사들이 단거리 운행을 거부하거나 승객들과 다투는 등 승객 불만 사례가 늘어 교육을 강화하겠다”며 “택시업체들이 빠져 나가면 브랜드 택시의 의미가 축소돼 전체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재정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콜을 지원하고 싶어도 당장 재정이 없어 내년에도 불투명하다”며 “서비스 질 향상 등은 조합 측이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