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 시행학교 ‘지역사회 교육전문가’ 배치 학교-지역사회 협력… 교육양극화 해소 팔걷어
인천지역 교육복지 우선지원사업 학교에 민간 전문 인력인 지역사회 교육전문가가 배치돼 학교간, 학교와 지역사회간 연계를 추진하고 교육 취약집단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도 지원한다.
교육복지 우선지원사업은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해 교육·문화·복지 통합지원체제를 구축, 교육취약 아동·청소년의 교육적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지역에선 전체 학교의 24%인 113곳이 교육복지 시행 학교로 선정돼 81억원이 투입된다.
이 사업은 주요 영역을 학습, 문화·체험, 심리·정서, 복지 등으로 구분해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히 모든 대상 학교에 민간 전문 인력인 지역사회 교육전문가가 배치된다.
지역사회 교육전문가는 학교 내 교육복지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가정-학교-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교육취약집단 학생들을 위한 지원시스템을 구축, 학생들의 학교 적응과 건전한 성장 및 발달 등을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시 교육청은 지역사회 교육전문가들이 교육복지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고 이들의 바람직한 역할상을 정립한 뒤 올해 교육복지사업 내실을 기하기 위해 지난 4일 인천평생학습관에서 연수회도 가졌다.
‘지역사회 교육전문가의 역할 제고’를 주제로 한 이날 연수회는 지역사회 교육전문가 113명이 참석한 가운데 특강과 올해 사업운영계획 설명, 지난해 교육과학부 교육복지투자사업 평가 결과 설명, 운영 사례 발표 등으로 진행됐다.
고병헌 성공회대학 교수는 특강을 통해 “교육격차 해소의 최대 적은 무관심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적극적 관심과 연대 실천이 올바른 길”이라고 강조했다.
황인근 시 교육청 복지재정과장은 “지역사회 교육전문가 역할이 교육복지사업 성패를 가늠할만큼 중요하다”며 “교육복지사업이 계층간 소득 격차 심화 등에서 비롯된 교육의 양극화 문제를 해결, 미래 주인공인 학생들이 밝고 힘차게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