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새 55%→19% ‘뚝’
산업인력을 길러내기 위해 설립된 전문계고의 취업률이 최근 10년 사이 20% 아래로 떨어진 반면 진학률은 70%대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9일 공개한 ‘2010년 전문계 고등학교 현황’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0년 4월 현재 전국의 전문계고는 692개교, 재학생은 46만3천888명이다.
775개교에 57만8천865명이 재학했던 2001년에 비해 10년 사이 학교수는 약 10%, 재학생수는 20% 줄었다.
특히 취업률과 진학률 역전 현상은 10년 사이 두드러져 2001년 54.7% 였던 취업률은 해마다 감소해 2010년 19.2%로 떨어진 반면 진학률은 2001년 40.8% 에서 2010년 71.1%로 치솟았다.
취업 목적의 전문계고에서 취업률보다 진학률이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나타난 것은 2003년으로 당시 취업률이 44.4%, 진학률이 52.7% 였다.
이런 현상은 이후에도 계속돼 취업률과 진학률 격차가 점점 벌어지다가 2009년에는 취업률이 16.7%까지 떨어지면서 바닥을 쳤고 동시에 진학률은 73.5%에 달했다가 2010년에는 다소 완화되는 기미를 보였다.
2010년 전문계교의 계열별 취업률과 진학률은 ▲농업고가 15.7%와 72.1% ▲공업고 21.2%와 67.1% ▲상업고 22.3%와 69.0% ▲수산·해운고 40.4%와 53.9% ▲가사·실업고 20.9%와 71.2% ▲종합고 9.3%와 82.7% 등이다.
이와 함께 전문계고의 입학 경쟁률은 10년간 1대1 수준을 맴돌고 있다.
2001년 1.04대1이던 전문계고 평균 입학경쟁률은 2003년 0.96대1, 2005년 1.07대1, 2008년 1.13대1, 2010년 1.04대 1 로 나타났다. 성보경기자 boccu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