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부터 서명운동·실태조사
1일 노동절을 기점으로 인천지역 최저임금 현실화 투쟁이 거세지고 있다.
민주노총 인천본부와 한국노총 인천본부 등 주요 노동단체들은 이달부터 매주 부평역과 주안역, 갈산역 등지에서 최저임금 현실화(5천410원)를 요구하는 서명운동을 펼치고 임금수준 실태조사도 진행한다.
지역은 남동공단, 부평공단, 주안공단 등지에 입주한 중소 제조기업 등에서 최저임금 수준의 급여를 받는 경우들이 많고 특히 20~30대와 50~60대 연령층은 대부분 최저임금을 받고 있을 정도로 급여수준이 매우 낮다.
지난해초 직장을 잃고 부평 갈산동 모 반도체 제조업체 생산직으로 들어간 A씨(45)는 경력을 인정받지 못해 현재 시간당 4천320원, 월 100만원을 밑도는 급여를 받고 있다.
A씨는 “적금을 헐어 모자란 생활비를 보태고 있다”고 호소했다.
올해로 직장 5년차인 B씨(46·여)도 항상 최저임금 수준의 급여를 받다보니 이제 막 일을 시작한 수습직원과 똑같은 월급을 받고 있을 정도.
인천지역은 특히 6대 광역시 가운데 급여수준이 가장 낮다보니 최저임금 현실화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상태다.
고용노동부의 급여 실태조사 결과, 인천의 실질임금은 189만6천원(지난 2009년 기준)으로 전국 평균 204만5천원을 한참 밑돌고 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