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안전장비 등한시…인천 후진국형 산재 사망 빈발

안전화·안전모·추락방지 장치 등 기본설비 등한시
올들어 18명… 영세사업장 안전시설 지원 시급

‘국제 산재사망 노동자 추모의 날’이자 UN이 정한 ‘세계 노동 안전과 건강을 위한 날’을 맞았지만 인천지역에선 아직도 사소한 안전설비 미설치 등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후진국형 산재 사망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27일 중부고용노동청에 따르면 지난 한해 동안 지역에서만 102명이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었으며 5천551명이 사고당했다. 사망자수와 사고건수는 모두 지난 2009년보다 늘었다.

 

추락사고가 845건으로 가장 많았고 사망자도 모두 31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올해는 지난 5일 기준으로 추락사고 사망자가 18명이나 발생, 지난해보다도 크게 늘었다.

 

공단이 많은 수원, 안산, 부천 등 인근 지역과 사업장수 및 근로자수 등을 비교하더라도 2배 정도 사망사고 비율이 높다.

 

이들 사고 대부분은 안전모, 안전화, 추락방지 장치 등 기본적인 안전시설을 갖추지 않아 발생했다.

 

실제로 최근 청라지구 모 아파트 공동주택 신축현장에서 타워크레인 운전원 A씨가 타워크레인 승강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지하 2층 바닥으로 떨어져 숨졌다.

 

A씨는 안전모를 쓰지 않고 있었다.

 

부평구 한 공장 신축공사 현장에선 철골구조물 4층 바닥 철골보(H빔)를 조립하던 B씨가 몸의 균형을 잃고 13.5m 아래로 떨어져 숨졌다. 추락방지 그물망만 제대로 설치했어도 막을 수 있는 사고였다.

 

더욱이 지난 19일에는 중부고용노동청과 인접한 영종하늘도시 모 아파트 모델하우스 철거공사현장에서 인부들이 안전모, 안전화, 안전대 등 기초적인 안전장비도 갖추지 않고 공사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에 대한 사후조치 이외에도 사전 점검·단속을 강화하고 영세 현장에 대한 안전시설 설치 지원 등 다양한 예방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들이 높다.

 

이와 관련, 중부고용노동청 관계자는 “공사현장에서 추락 위험성을 알고도 비용을 줄이기 위해 예방조치를 충분히 하지 않는 경우들이 많다”며 “안전보건단체 등과 함께 사고위험이 높은 현장에 대한 감시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