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경제활성화 대책회의… 日대지진의 경제적 영향·대응전략 논의

“지자체 차원 재난대비 ‘플랜 B(<별도의 방안·대책) 절실”

일본 대지진 피해와 관련 한국도 재해복구 매뉴얼과 함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플랜(Plan) B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호성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 정호성 수석연구원은 27일 경기중소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경제활성화 대책회의에서 ‘일본 지진의 경제적 영향과 경기도 대응전략’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 자리에서 정 수석연구원은 현재 일본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로 에너지 기본계획과 신성장 전략 등 그동안 일본이 세웠던 성장 전략의 좌초를 꼽았다.

 

또 이번 원전 사태로 일본이 그동안 추진해 왔던 친환경 산업 패키지형 원자력발전소 수출이 좌초될 위기에 처했으며 각국의 방사능 검사 강화 등 수입 규제 강화로 수출환경이 악화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경영 목표를 상실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같은 분위기에서 한국이나 경기도는 대지진과 같은 위기발생시 재해복구 매뉴얼이 아닌 플랜(Plan) B 마련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했다.

 

정 연구원은 “일본은 재해에 대한 복구 매뉴얼은 있었지만 최악의 상황에 대처하는 플랜 B가 없었다”며 “이는 결국 2차 피해의 확대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또 “이러한 재난 상황에서 지자체의 플랜 B는 시민들의 생명과 직결된 만큼 일본 대지진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한 경기도 차원의 재난 대처 플랜 B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인하대 정승연 교수는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경제협력을 넘어 지자체 차원에서 협력방안 구축이 필요하다”며 “한일 FTA를 통해 우리 농수산물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지사는 “공무원들의 메뉴얼식 탁상행정은 반드시 개선돼야 하며 수요자 중심의 지원책 마련을 강구하겠다”고 밝히면서 일본 원전피해에 온나라가 걱정하면서도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는 조용한 사회적 분위기를 우려하기도 했다.

 

참석자 간 종합토론에서는 일본 대지진 이후 달라진 대일본 경제 상황에 맞춰 ▲일본 첨단부품·소재 기업의 경기도 투자 유치 ▲한중일 동북아시아 협력 체계 마련 ▲부품수입 창구의 다변화 ▲기초 원자재 국산화 노력 ▲희소 원자재 비축 기지 마련 ▲무관세 부품소재단지 조성 등 다양한 의견도 제시됐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김문수 경기지사와 임창열 경기일보 회장, 김기선 경기도의회 경제투자위원장, 홍기화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대표이사, 박해진 경기신용보증재단 이사장, 구본길 ㈜포켄스 대표이사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