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부평 십정동 송전선로 이설 합의

‘지중화 해법’은 5년내 추진 힘들 듯

수년 동안 주민들간 갈등을 빚었던 인천 부평구 십정동 목화연립주택 인근 고압(345KV) 송전선로 이전논란이 송전탑 이설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일단락됐다.

 

그러나 그동안 해법으로 제시됐던 지중화문제는 향후 5년 이내 추진이 어려울 전망이다.

 

홍미영 부평구청장은 7일 그동안 갈등을 빚어온 목화연립 재건축 정비사업조합, 백운2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조합, 동보아파트, 한국아파트, 주공아파트 용우빌라 주민들과 함께 십정동 송전선로 이설 합의 기자회견을 가졌다.

 

홍 청장은 이날 “그동안 이설을 추진하는 조합과 반대하는 주민들간 갈등의 골이 깊었지만 공공갈등 조정관제도를 도입, 갈등을 조정한 결과 주민들간 합의를 이끌어냈다”며 “부평구는 지중화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평구와 주민들은 용우빌라 개보수, 주민공공편의시설 제공, 지중화 진행 노력 등에 대해 합의하고 송전선로 이설공사를 진행키로 했다.

 

이번 이설 합의로 붕괴 위험에 처해있던 목화연립주택은 재건축이 가능해져 오는 9일 착공할 계획이다.

 

하지만 고압선 가운데 두번째로 전압이 강한 이 지역 일대 송전선로 문제 해결방법으로 손꼽히는 지중화 논의는 사실상 5년 동안 어렵게 된다.

 

한국전력공사가 송전선로에 대한 이설이 준공될 경우 5년 이내 지자체가 지중화를 요구하면 공사비를 전액 지자체가 부담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도 한국전력공사가 재정난을 이유로 지중화 추진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전력공사 규정대로 계산하면 이설 후 5년이 지나는 오는 2016년 이내 지중화를 추진하려면 한국전력공사 측 부담비 200억원 대신 전체 사업비 400억원을 인천시와 부평구가 부담해야 한다.

 

한국전력공사 인천본부 관계자는 “이설공사가 완료되면 이로부터 5년 이내 지중화공사를 신청하고 공사비도 시나 구가 전액 부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