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사 선정과정서 SK건설, 인천시·도개공에 뇌물 혐의 집중 조사
인천도시개발공사(도개공) 간부 뇌물수수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인천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윤희식)는 3일 뇌물을 준 SK건설이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 시행사로 선정되는 과정에서 인천시와 도개공 등에 조직적으로 로비를 벌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검찰은 특히 이 사업 가운데 일부인 인천대 송도캠퍼스 공사비가 당초 2천407억원에서 3천500여원으로 증액된 사실을 확인하고 최근 도개공과 SK건설 등으로부터 압수한 관련 서류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토대로 부당하게 편의를 제공했는지 여부와 뇌물이 오고 갔는지 등을 수사하고 있다.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은 지난 2006년 공모 당시 SK건설을 주축으로 한 SK컨소시엄과 대우건설을 주축으로 한 뉴원힐즈 컨소시엄 등이 민간공모에 참여, 최종적으로 SK컨소시엄이 사업시행자로 선정됐다.
SK컨소시엄은 SK건설을 주간사로 건설사 8곳과 금융기관 10곳 등 모두 21곳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그러나 선정 당시 도개공이 배점기준을 이 사업의 주목적인 인천대 송도캠퍼스 이전에 대한 비중보다,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아파트 건설)에 더 많은 비중을 둔 것에 주목하고 있다.
당시 총점 900점 만점에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 계획 및 건설계획 등에 250점, 사업계획 300점, 관리운영계획 200점, 신 캠퍼스 조성사업 150점 등으로 배정됐었다.
이 때문에 설계가 우수했었던 것으로 알려진 대우건설은 떨어지고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성 위주로 공모한 SK컨소시엄이 선정됐다는 소문이 나돌았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사업비 증액도 당초 사업이 민간 공모형이어서 공사비가 증액될 사유가 없는데도 공사비가 1천억원 넘게 증액된 점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SK컨소시엄은 “인천대의 과다한 요구가 있었다”는 이유로 실시설계 과정에서 6천23억원의 설계 내역서를 산출한 뒤 실제 공사비 4천907억원을 주장하며 지속적으로 공사비 증액을 요구했었다.
결국 인천시는 지난 2009년 인천세계도시축전 전 인천대 송도캠퍼스 이전을 서두르기 위해 증액을 승인했다.
검찰은 이에 따라 이 사업 모두를 인천시로부터 위임받은 도개공이 도화구역 PF 민간사업자 공모·선정 이후 민간협약서를 체결하면서 설계·시공 일괄 입찰 부분을 명백하게 하지 않아 공사비가 증가된만큼, 도개공의 관리·감독 부실 및 SK컨소시엄과의 뒷거래 등이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수사하고 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