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상품개발·마케팅 추진 등 공동 운영 합의 불구 시·도간 입장차… 인천·경기 올 예산조차 반영 안해
인천·경기·서울 3개 시·도지사가 합의한 수도권 관광협의회 구축사업이 지자체별 입장차이 등으로 인해 지지부진하다.
27일 수도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등에 따르면 인천·경기·서울 3개 시·도지사는 지난해 11월 모두 18개 공동과제를 선정하면서 수도권 관광 활성화를 위해 공동으로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마케팅을 추진하는 내용을 담은 수도권 관광협의회를 구성·운영키로 합의했다.
그러나 시·도간 입장 차이로 세부 사업 구상도 하지 못하면서 올해 서울시만 1억원의 예산을 세워놨을 뿐, 인천·경기는 올해 예산조차 반영하지 않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서울시는 한강 르네상스 및 경제문화 도시 마케팅 프로젝트 등을 중심으로 인천·경기와의 전략적 제휴를 원하고 있는 반면, 인천과 경기는 상당수의 관광객을 서울로 뺏기고 있다는 인식 하에 각자 독자적인 관광상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위원회 내부에서도 18개 공동과제 중 세미나를 여는 등 가장 많이 회의도 열었지만 ‘중국·일본 등을 타깃으로 사안별 T·F팀을 운영하자’는 정도의 협의만 이끌어 냈을 뿐, 세부 사업 정리는 답보상태다.
특히 인천은 이미 수도권과 강원도·충청북도 등이 포함된 5개 시·도 관광협의회가 구성돼 운영 중이어서 기능상 중복은 물론 자칫 예산만 낭비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며 협의체 구성에 가장 부정적인 입장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미 기존 협의회가 있는 상황에서 수도권만의 특화된 사업을 이끌어 내지 못하면 굳이 예산을 또 들여가면서 수도권 협의체를 구성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면서 “협의회 남발이 우려돼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위원회 관계자는 “지난해 9월부터 2개 시·도와 세부사업을 선정하기 위해 애쓰고 있으나 각자 입장차가 달라 조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내년에는 모두 예산을 확보해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위원회 차원에서 명분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위원회는 오는 5월11일 경기도 중소기업지원센터에서 올해 첫 회의를 열고 18개 공동협력과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세부 사업 등을 논의·확정할 계획이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