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남부 확산… 인접 시·군 공동작업 필요
지난 2004년 경기도내에서 처음 발견된 참나무시들음병이 용인, 성남 등 경기남부지역으로 급속히 번지고 있어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각 지자체의 공동 방제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7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올해 용인, 성남, 의왕, 광주 등에서 모두 2천289㏊의 임야를 대상으로 참나무시들음병 방제작업을 벌일 예정이나 작업 구역이 시·군별로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나무시들음병은 매개충이 나무속에 퍼트린 곰팡이 수분과 양분의 이동을 막아 나무를 고사시키는 병으로 도내에서 60여만 그루의 나무가 이 병에 걸렸다.
병에 감염된 나무는 베어내고 훈증(더운 연기를 쐬거나 유독 가스로 살충) 처리하거나 병해충이 나무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나무에 끈끈이 롤트랩을 설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의왕시는 지난달 하순부터 백운산에서 바라산에 이르는 임야 90㏊에서 대략 5천그루의 감염목을 베어내고 훈증 처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의왕시는 병이 든 나무들에 대해 훈증 처리를 하고 있으나 피해 실태가 심각해 6월 말까지 작업을 마칠 진행할 계획이다.
그러나 산 정상 등산로를 경계로 행정구역이 다른 용인시는 이 일대에 대한 방제작업을 전혀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용인시 관계자는 “지난해 8~9월 조사 당시 백운산, 바라산 일대에서 참나무시들음병으로 고사된 나무 18그루를 제거했다”며 “하지만 피해가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올해 동부지역인 포곡면과 모현면 일대에서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백운산과 경계지역인 수원시는 참나무시들음병이 인근 지역까지 확산됐는데도 실태조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수원시 관계자는 “아직까지 참나무시들음병에 대한 신고가 들어오지 않아 현지조사를 하지 않았다”며 “조만간 현장에 요원들을 보내 조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참나무시들음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인접 시·군이 공동방제작업을 벌이는 것이 좋다”며 “해당 시·군에 공동 방제 작업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최원재기자 chwj74@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