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구입’ 어려움… 후식 줄이고 고기 대신 햄으로
경기도가 올해 수백억원의 예산을 편성, 친환경학교급식을 지원했지만 친환경 식자재 구입에는 턱없이 부족해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
더욱이 경기도교육청의 무상급식 확대정책으로 일선 학교들이 지자체로부터 친환경급식 재정지원을 사실상 한푼도 받지 못하고 학부모들에게도 비용을 받을 수 없으면서 오히려 학교급식의 질이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올해 588개교(초교 564곳, 중학교 24곳)에 친환경 학교급식을 실시키로 하고 모두 400억원(160억원은 축산물)의 예산을 편성, 친환경 농·축산물을 급식 재료로 사용할 경우 학생 1인당 끼니마다 280원(쌀값 80원)씩을 지원하고 있다.
앞서 도는 지난해 60억원(도비 18억원, 시·군비 42억원)을 들여 246개교의 친환경 학교급식을 실시, 학생 1인 1끼니당 140원씩(쌀값 보조 없음)을 보조했었다.
그러나 도교육청이 올해부터 무상급식 전면 확대정책을 펼치면서 각 시군의 예산이 무상급식 확대비로 전액 사용된데다 무상급식 확대로 학생 1인당 1끼니 급식단가가 2천150원~2천500원으로 일괄 책정, 친환경 급식학교의 급식 질이 오히려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상 급식단가가 3천원 이상이 돼야 안정적인 친환경 급식이 가능하지만 무상급식 시행으로 급식단가가 터무니없이 낮아졌고 학부모 부담을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데 따른 것이다.
친환경 급식 지원금은 지난해 140원에서 올해 280원으로 사실상 두배나 올랐지만 무상급식에 따른 도교육청 책정 급식단가는 2천50원에서 2천150원 등으로 100원 정도 인상되는데 그친 것도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부터 친환경 급식을 시작한 안양 A초교의 경우 도의 보조금을 포함해 2천700원의 급식단가가 책정돼 있지만 친환경 농산물 가격이 워낙 비싸, 친환경 급식 이전인 지난해 매일 제공했던 과일 후식을 올해에는 일주일에 2번만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고양 B초교 역시 고기를 햄 종류로 대체하거나 급식량을 줄이는 등 친환경 급식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C학교 영양사는 “지난해 학부모 지원을 받아 친환경 급식을 했으나 올해 단가가 일괄 책정되면서 급식 질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며 “일반 농산품 가격에 비해 친환경 농산품 가격이 20% 정도 비싸 최소한 3천원 이상이 돼야 친환경 급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친환경 급식 예산을 전액 도비로 책정했지만 운영이 어렵다는 일선 학교들의 지적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무상급식 확대가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