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日 중소기업은… 수출주문 취소·연기 등 피해기업이 60%

경기중기지원센터 설문 대일본 수출 급감 전망

일본대지진 여파로 국내 산업계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지역 일본 수출기업 절반 가량이 올해 ‘대일본 수출’ 목표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2일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 따르면 경기중기센터가 지난 17~18일 도내 일본 수출기업 238개사를 대상으로 지진피해 설문조사(복수응답)를 실시한 결과, 일본대지진 이후 수출 주문이 취소되거나 연기돼 수출에 애로가 있다고 답한 비율이 22.3%에 달했다.

 

이어 ‘바이어와 연락이 불편하다’ 12.9%, ‘선적이 지연된다’ 8.7%에 이르는 등 일본대지진으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보고 있다는 기업 비율이 무려 59.8%를 차지했다.

 

특히 대지진에 따른 올해 대일 수출전망에 대해서는 애초 수출 목표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44%로 집계됐다.

 

반면 ‘변동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29%, ‘오히려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한 기업도 27%인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일본 수출이 지진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데 걸리는 기간에 대해서는 56%가 6개월 이상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경기도는 도내 대일본 수출 기업을 돕기 위해 오는 21일 피해기업 자금지원 상담센터를 개설, 기업들의 자금난 해결에 나설 계획이다.

 

우선 도는 중소기업특별경영안전자금 200억원을 업체당 5억원 이내에서 5.5%의 이자율로 지원하고 신규보증에 따라 수수료를 인하해 주기로 했다.

 

또 대체시장 발굴을 위해 업체당 200만원의 수출보험료를 지원하는 한편 신규 바이어 발굴과 해외시장 조사를 위해 업체당 100만원의 해외마케팅 추진비도 지원한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유관기관과 유기적인 협조체제 구축을 통해 피해기업 지원책 강구에 나설 예정”이라며 “특히 KOTRA 등과 협력을 통해 대일 부품·소재수입 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수급 다변화 및 국내기업 매칭 지원 등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지역의 지난해 총 수출액은 857억600만달러로, 이 중 대일본 수출액은 45억9천700만달러로 집계됐으며 수출 업종은 전자전기제품, 기계류, 화학공업제품, 철강금속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제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김규태기자kkt@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