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111곳 대상…소규모 학교 통폐합 ‘지지부진’

동문·주민 반발로 5년간 7곳만 성과

경기지역 초·중·고교 중 5.1%(111곳)가 학생 부족 등으로 통·폐합 대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상 학교 인근 주민 및 동문회 등의 반발 등으로 최근 5년간 통·폐합된 곳은 7개교에 불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2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04년 기준으로 도내 초·중·고교 2천161곳 가운데 145개교가 소규모 학교이며 이들 소규모 학교 중 초교 101곳, 중학교 10곳 등 111곳이 통·폐합 대상학교로 분류돼 있다.

 

이에 도교육청은 이들 111곳의 초·중학교의 통·폐합 추진계획을 수립해 놓은 상태다.

 

통·폐합 대상학교는 읍·면 지역 소재지 학교의 경우 총 학생 수가 60명 이하, 도시지역은 200명 이하인 본교 또는 분교일 때 지정되며 특성화 학교와 1면 1개교, 특수지역 학교 등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나 실제 통·폐합이 이뤄진 학교는 2006년에는 한곳도 없으며 2007년 3곳, 2008년 1곳, 2009년 2곳, 지난해 1곳 등 5년동안 7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처럼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 실적이 저조한 이유는 대상 학교 인근 주민 및 동문회의 반발과 함께 지자체의 주민 설득 노력 부족, 교장·교감 등 관리직 감소에 따른 승진 적체 우려 등에 의해 도교육청이 소극적으로 나설 수 밖에 없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계 내부에서는 복식수업으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 교육과정 비정상화, 교육 재정 손실 등을 방지키 위해 통·폐합 대상 학교에 대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통·폐합 계획을 수립, 추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현재 도내 39개 초등학교 본교 및 분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2개 이상의 학년 학생들이 함께 수업을 진행하는 2복식 수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환경 개선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이 필요하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학부모 및 동문회 등의 반대로 통·폐합 추진에 어려움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교육과정 정상화는 물론 교육 재정 개선과 주민·동문회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는 범위 내에서 통·폐합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