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바뀐 후 과목 편중 심해져
올 새 학기부터 학교 자율로 과목별 수업시수의 20%를 증감할 수 있게 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전국 초·중학교에서 국·영·수 편중현상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1월15일부터 2월28일까지 전국 251개 중학교의 교과편성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71.3%(179개교)가 올해부터 영어 수업시수를 3년간 기준시수(340시간)보다 평균 44.8시간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또 수학 수업시수를 작년보다 늘린 학교도 절반이 넘는 130개교(51.7%)에 달했고, 늘어난 시수는 평균 34.3시간이었으며 응답학교 중 영어와 수학 시수를 줄인 학교는 단 한 곳도 없었다.
반면 국·영·수를 제외한 나머지 과목의 수업시수는 평균 28.7∼34.6시간씩 예외 없이 감소했다.
특히 한문, 제2외국어 등 선택과목과 기술·가정 수업을 줄인 학교가 각각 129개교(51.3%), 99개교(39.4%)씩으로 가장 많았다.
여기에 도덕(51개교), 사회·역사(35개교), 과학(18개교), 음악·미술(17개교), 체육(8개교) 등도 수업시수가 줄었다.
아울러 국·영·수 편중 현상은 올해부터 2009 개정교육과정이 적용된 초등학교 1∼2학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전국 334개 초교를 대상으로 한 같은 조사에서 응답학교의 절반이 넘는 174개교(52.1%)가 1학년 국어 수업시수를 평균 10.3시간 늘렸다고 답했다.
2학년 국어 수업시수를 늘린 학교도 153개교(45.8%, 평균 10.4시간)였고, 수학 역시 1학년은 166개교(49.7%), 2학년은 180개교(53.9%)가 수업시수를 평균 8.7∼8.9시간 늘렸다.
교총 관계자는 “2009 개정교육과정이 국·영·수 편중현상을 부를 것이란 지적이 꾸준히 나왔지만, 이러한 현상이 실제로 확인된 것은 처음”이라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에 개선책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