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인증 위해 수당조차 없이 잇단 야근에 시달려
인천시 부평구 A 구립어린이집에서 일하는 김모씨(28·여)는 지난해 12월부터 야근에 시달리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가 실시하는 어린이집 평가인증을 재인증받기 위해 김씨 이외에도 교사들은 이틀에 한번꼴로 자정까지 근무하고 있으며, 만삭인 교사도 육아휴직 없이 야근이 계속돼 건강 악화에 시달릴 정도다.
단 한번의 야간근무수당 없이 계속된 야근으로 교사들이 반발하자 시설장은 월 10만원의 시간외수당을 약속, 서약서까지 받았지만 아직 시간외수당은 감감무소식이다.
김씨는 “이틀에 한차례꼴로 자정에 퇴근하는데 초과근무에 대한 어떠한 보수도 지급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인천지역에 위치한 평가인증 어린이집은 전체 어린이집 1천773곳 가운데 73.5%인 1천304곳으로 이들 어린이집은 평가인증 기간 후 3년마다 평가인증을 재인증받아야 한다.
그러나 어린이집의 무분별한 난립과 양질의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인증 제도가 되레 교사들의 근무여건만 악화시켜 전반적인 보육서비스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가 실시되면서 학부모들이 평가인증 여부를 바탕으로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풍토가 확산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뒷받침은 미비, 민간 어린이집은 물론 상대적으로 근무여건이 양호한 공립 어린이집도 평가인증 제도 준비로 인한 근로여건 악화가 만연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 관계자는 “평가인증 때가 되면 가뜩이나 좋지 않은 어린이집 근무요건이 더욱 악화돼 일부 어린이집은 인권 침해 논란도 일고 있다”며 “지도점검 등으로는 한계가 있고 어린이집의 자체 해결도 재정문제로 어려운 만큼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