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건설 활성화정책 ‘헛구호’
작년 전체 27.5% 그쳐… 市 “대기업, 기존업체 선호”탓
인천지역 곳곳에서 개발사업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지역 하도급 업체들은 여전히 외면받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일 시가 시의회 건설교통위 이도형 의원(민·계양1)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에서 신규로 발주된 공사(발주 금액 7천997억원) 가운데 지역 하도급 업체가 참여한 비율은 27.5%(2천202억원)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기존에 진행 중인 공사까지 포함하면 3조4천40억원 규모지만, 이 기운데 지역 하도급업체가 참여한 비율은 31.6%(1조745억원) 수준이다.
지난 2009년 신규 6천201억원 가운데 48.2%(2천989억원)와 총 누계 2조6천225억원 가운데 33.6%(8천803억원)에 비해 되레 각각 20.7%p와 2%p 줄었다.
인천교통공사 등 시 산하 공사·공단은 지난해 신규 발주된 공사 520억원 가운데 고작 45억원(8.7%)만 지역 하도급업체가 맡았고 인천도시철도건설본부는 694억원 발주 금액 가운데 213억원(30.7%), 상수도사업본부도 119억원 가운데 38억원(31.9%) 등에 그쳤다.
특히 LH 등은 5천47억원 발주에도 782억원(15.5%)만 지역 하도급업체가 수주하는데 그쳤다.
이같은 실적은 시가 목표로 하고 있는 지역 하도급 업체 참여비율 60%에도 턱없이 부족, 시가 강조하고 있는 지역건설 활성화정책이 헛구호에 불과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때문에 지역 하도급업체들을 위해 관련 조례를 개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 의원은 “LH 등 정부 공기업은 물론 시와 시 산하 기관들이 발주하는 사업에도 지역 하도급업체들이 외면받고 있다”며 “시의 노력과 의지가 부족하다고 밖에 볼 수 없는만큼, 시의회 차원에서 강제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역 하도급업체 경쟁력 부족도 원인이지만, 대형 건설업체들이 지역 하도급업체 배려보다는 기존 거래 하도급업체를 더 선호하는 등 의지가 부족하다”며 “시의회와 함께 지역 하도급업체 참여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