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논란’ 검단~장수 민자도로 재추진

市 “남북 방향 신설 불가피… 전반적 교통대책 검토 중”

인천시가 특혜 및 환경파괴 논란을 빚다 결국 백지화된 검단~장수 구간 민자 도로를 재추진, 또다시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27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14년까지 5천724억원을 투입, 서구 당하동(검단신도시 원당)~남동구 장수동(서울외곽순환도로 장수IC) 구간 녹지축을 관통하는 길이 18.3㎞ 왕복 4차선 도로를 민간 제안사업으로 추진하다 시민단체 등의 반발에 밀려 지난해 전면 백지화했다.

 

그러나 시는 최근 계획인구 23만명 규모인 검단신도시 개발계획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당초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반영된 이 도로를 비롯해 남·북방향의 각종 대안 노선들에 대한 재검토에 나섰다.

 

검단신도시는 물론 청라지구, 루원시티 등으로 인천 북부지역 교통수요 50만~60만대 처리를 위해선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이외에 남북 방향 도로 개설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시는 제2외곽순환고속도로로만 대체하면 북부권 시민들이 영동고속도로 등 남동권으로 이동시 통행거리가 10.7㎞ 늘고, 통행시간은 19.1분, 통행비는 3천834원 등이 늘어 되레 사회적 손실비용이 커지는만큼 남북 간 도로 신설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신 추진에 앞서 시민·환경단체들에게 충분하게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 최적의 대안을 마련한 뒤 동의를 얻어 추진하는 등 조심스럽게 진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대안노선 찾기가 만만찮아 사실상 검단~장수 구간 민자 도로에 교량·터널을 재조정, 소음·분진 및 환경파괴를 최소화해 재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검토 중인 대안 노선은 현 계획노선 인근 봉수대길을 비롯해 중봉로·서곳로·장재로 등 기존 도로를 활용하는 방법이나 지하 40m 깊이의 대심도 노선 등이지만, 기존 길은 각각 2차로씩 확장해야 해 사업비가 1조4천억원 늘고 대심도 노선도 천문학적인 사업비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검단신도시 계획 변경에 따라 광역교통개선대책 변경도 불가피, 이 도로는 물론 전반적인 교통대책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며 “남·북방향 도로 신설은 꼭 필요한 만큼,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대안 노선 등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