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5곳을 포함, 지난 3년간 구제역과 AI(조류인플루엔자) 등으로 인한 가축 매몰지의 일부가 벼농사나 밭작물 재배, 도로개설 등의 용도로 바뀌는 등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나라당 김호연 의원이 26일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3년간 구제역과 AI 등 전염병으로 인한 가축 매몰지 622곳 중 12.5%인 78곳이 다른 용도로 이용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벼농사 등 작물 재배지로 바뀐 곳이 무려 53곳이나 돼 침출수가 발생할 수 있는 땅에서 자란 작물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비닐하우스가 설치된 곳은 3곳이었으며, 매몰지 흔적을 찾아볼 수 없도록 도로로 개설·편입되거나 건축물이 신축된 곳도 9곳이나 됐다.
지역별 전용사례를 보면, 전북이 전체 236곳 중 66곳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와 부산이 각 5곳, 서울과 경남이 각 1곳이었다.
김 의원은 “이번 구제역 파동으로 추가 발생한 매몰지 4천700여곳를 제대로 관리하려면 특단의 관리 매뉴얼이 필요하다”면서 “매몰지 이용, 발굴과 관련된 절차와 요건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가축전염병예방법 개정안’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