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예산 확보 ‘초비상’
정부 사전승인 절차 안거쳐 국비 확보 무산
<속보>송영길 인천시장이 지난해 6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와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AG) 프레대회를 실내(In-Door)아시아경기대회로 치르기로 합의한 가운데(본보 지난해 11월12일자 1·3면), 문화체육관광부가 이를 승인해주지 않아 예산 확보 등에 비상이 걸렸다.
23일 시에 따르면 296억원(국비 88억원)을 들여 오는 2013년 11월24~31일 8일 동안 AG 프레대회로 아시아 45개국 3천1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9개 종목의 2013 실내·무도 AG를 치를 계획이다.
그러나 최근 문화체육부는 이 대회 승인을 거부했다.
시가 사전에 문화체육부로부터 승인 절차를 밟은 뒤 대회를 유치한 게 아니라, 시가 독단적으로 OCA와 협의하는 등 대회 유치를 확정하고 정부 승인을 신청했기 때문이다.
국무총리 훈령인 ‘국제행사의 유치·개최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국제행사 난립을 막기 위한 사전 검증절차로 지자체 등이 국제행사를 유치할 경우 사전에 해당 중앙 부처로부터 사전 타당성 검토와 승인 등을 받아야 한다.
시가 정부로부터 승인받지 못함에 따라 사실상 국비 확보도 사실상 무산, 사업비 전액을 시비로만 충당해야 해 예산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현행 10억원 이상의 국고 지원을 요청하는 경우, 기획재정부 훈령에 따라 문화체육부의 타당성 검토 보고서를 기준으로 예산을 심사받은 뒤 국제행사심사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
경기장 활용도 문제다.
대부분이 계양·강화·남동·문학·선학·송림 등 AG 경기장을 활용할 계획이지만 현 공정으로는 대회 때까지 준공이 쉽지 않아, 자칫 공사 중인 경기장에서 국제대회를 치러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당초 전국체전으로 대체할 계획이었으나, 계획이 갑자기 바뀌면서 국제대회 승인절차를 밟지 못했다”며 “문화체육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지역 국회의원 등을 통해 건의, 정부 승인을 받아 국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경기장은 공정률을 수시로 확인, 사용이 어려울 경우 학교 체육관 등 기존 경기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