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84억중 -22억·여주 19억중 17억 등 소진 시군마다 예산운용 비상… “道·정부 지원 절실”
구제역 사태가 두달 넘게 지속되면서 경기도내 지자체들이 구제역 방역비로 예비비를 소진하는 등 예산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1일 일선 시·군에 따르면 이천시는 지난해 12월26일 돼지농가에서의 구제역 발생 이후 최근까지 구제역 방역과 살처분 작업을 하면서 약품 구입, 장비임대 등 비용에 106억원을 썼다. 올해 책정된 예비비 50억원에 국·도비 34억원을 합쳐도 22억원이 모자라는 셈이다.
이천시는 침출수 유출에 따른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매몰 구덩이 바닥에 쓰레기매립장용 차수막 매트를 추가로 매설하면서 20억200만원이 추가로 지출됐다. 이 조치로 매몰지 사후관리 대책이 타 시·군에 앞서고 있지만, 20억원을 추가로 들인 데 따른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천시 관계자는 “이미 예비비가 바닥이 난 지 오래인데다 국·도비 지원도 부족하다”면서 “돈이 없다고 구제역 방역과 사후관리를 안 할 수도 없어 도와 정부에 재정지원을 계속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주군도 올해 예비비 18억9천만원 중 구제역 방역 소독약품 구입과 방역초소 운영 등으로 17억원을 이미 써버린 데 이어 방역복과 약품 구입비가 추가로 필요해 예비비가 거의 바닥난 실정이다.
화성시도 지난해에 이월된 예비비 3억4천만원 중 2억1천만원을 구제역 비용으로 투입했으며, 향후 매몰지 사후관리에 비용이 추가 투입될 경우 예산운용에 난항이 발생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경기도는 구제역 방역을 위해 이미 예비비 287억원을 집행했으며 매몰지 사후관리 등을 위해 예비비 832억원을 올해 1차 추경에 추가편성했다.
도 관계자는 “구제역 발생이 소강상태에 접어든 상태이지만 방역이 3월까지는 지속될 예정으로 약품 구매 및 매몰지 사후관리 등 앞으로 투입될 비용이 적지 않다”며 “시·군의 방역에 따른 예비비 지출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성훈기자 pshoon@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