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구역 개발 수천억 적자 불가피

市·인천도개공, 사업성 떨어져 부지 매각해도 투자액 1조2천억 못미처

인천시가 인천도시개발공사(이하 도개공)와 함께 추진 중인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이 수천억원의 적자가 불가피해 타당성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 시와 도개공 등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옛 인천대학교인 남구 도화동 43의7 일원 88만1천990㎡에 총 6천306세대가 입주할 교육·문화 복합도시로 조성하는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와 도개공은 이 과정에서 사업비를 줄이기 위해 당초 철거키로 했던 옛 인천대 건물을 리모델링해 시 일부부서와 산하기관을 옮기는 등 제물포 스마트 타운을 조성하고, 나머지 66만㎡는 개발하지 않고 단지만 조성해 매각하는 방향으로 개발계획 변경을 진행중이다.

 

그러나 시의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 도개공의 부지 매각 예상 수익이 약 9천~1조1천억원에 그칠 것으로 분석돼 수천억원의 적자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도개공은 공사채를 발행해 인천대 송도캠퍼스 건립비(4천300억원)와 도화구역 보상비(3천200억원) 등 7천800억원 투입했고 앞으로도 시 교육청 보상비(965억원)와 인천대 재배치 사업비(1천9억원)를 줘야 하는데다 철거 및 단지조성비(600억원) 등 총 4천여억원을 더 투입해야 해 총 투입된 자본은 1조2천억원에 달한다.

 

결국 도개공은 1조2천억원을 투자해도 부지 매각 수익은 최소 9천억원에서 최대 1조1천억원에 불과해 1~3천억원의 적자를 볼 수 밖에 없다.

 

특히 현재 부동상 경기 상황으로는 부지 매각 여부도 미지수인데다 아파트를 지어 분양할 경우도 1~2천억원의 적자가 우려될 만큼 도화구역의 사업성이 낮은 것이 큰 문제이다.

 

도개공 관계자는 “개발을 하거나 부지를 팔거나, 두 가지 방안 모두 현재 부동산 경기로는 적자를 면할 뾰쪽한 방법이 없다”면서 “시에 건물 매입비로 3천억원을 요구하는 등 시와 토지이용계획 변경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진척이 없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예상되는 적자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개공과 논의를 하고 있지만 입장차가 커 쉽지가 않다”며 “당장 도개공에 건물 매입비를 줄 수 있는 여력이 없는 만큼, 다른 곳의 토지를 출자하는 등의 대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