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간선수로 자연형 하천 조성

“생태공간·홍수예방 먼저 논의를”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과 관련해 서부간선수로, 계산천, 굴포천 등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선 구체적인 용수공급계획에 앞서 생태공간 조성계획과 홍수예방기능대책 등이 먼저 논의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인천시의회 산업위원회가 17일 계양구청에서 시민단체 및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한 서부간선수로 유지용수 공급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임정수 바람직한 서부간선수로 조성을 위한 협의회장은 이처럼 주장했다.

 

임 회장은 “인천시와 한국농어촌공사 등은 현재 1년 중 절반 이상이 말라 있는 서부간선수로를 계산천·굴포천과 연계, 사계절 내내 물이 흐르는 자연형 하천으로 조성할 계획으로 용수확보방법을 두고 한강원수와 굴포천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 친수공간조성방법을 두고 호수형과 고수부지형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서부간선수로가 농수로 기능만큼이나 홍수억제기능이 상당한 만큼 향후 경인아라뱃길 준공과 함께 홍수억제기능을 어떻게 보완할 지에 대한 연구가 뒷받침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최혜자 인천시 하천살리기추진단 사무국장은 “어디 물을 쓴다고 하더라도 함부로 정할 게 아니라 생태계 조성과 홍수억제에 대한 검토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서부간선수로를 자치단체장이 하천으로 지정, 법적 보호와 예산 투입근거 등을 마련하는 등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일부 시민단체 관계자도 “굴포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서부간선수로 및 계산천 등으로 성급하게 분배할 경우 공급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대해 시의회 관계자는 “이날 도출된 지적들을 토대로 집행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