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단체장 영상회의
김문수 경기지사가 “구제역 매몰 메뉴얼이 잘못된 것이 많아 중앙에 여러차례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정부의 구제역 대책 등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김 지사는 15일 행정안전부 주재로 열린 ‘구제역 매몰지 관련 9개 시·도 단체장 영상회의’를 통해 “매몰 매뉴얼이 잘못된 것이 많다. 구제역 매뉴얼에 대해 중앙에 여러 차례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구제역 매뉴얼과 조사·검사의 모든 대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김 지사는 “언론에서 구제역 매몰로 팔당상수원이 큰 문제인 것처럼 보도됐으나 도 조사결과 매몰로 인한 지하수와 음용수 수질의 영향은 아직 없다”며 “환경부에서 같이 매몰에 참여하고는 큰 문제인 것처럼 발표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 구제역 매뉴얼 재점검과 구제역 진단권한 지방 이양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중앙에 여러번 건의했지만 묵살당해
조사·검사 등 모든 대책 전환 필요해”
김 지사는 “결핵 등 법정전염병 확진은 국가에서 독점하지 않지만 구제역 진단의 경우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독점이고, 도에서 항원진단키트를 개발하려 해도 국가로부터 바이러스를 못구해 연구를 못한다”며 “이번에 지방으로 권한을 이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맹 장관은 “팔당 식수음용에 문제가 없다는 것을 경기도에서 공식발표해달라. 민심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환경부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또 유정복 농림식품수산부 장관은 “구제역 바이러스는 고도의 밀폐공간이 필요하므로 대부분 국가에서 검역을 한군데에서 한다”며 “대권역별로 검사기능을 갖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타 시·도지사들은 매몰지 관리 등에 대한 국비지원과 콘크리트 공동가축매몰지 설치 등의 건의사항을 쏟아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매몰지 1곳당 225만원의 비용이 정해져 있는데 1천153만원이 필요해 더 많은 국비지원이 필요하고 수질전문가와 토양전문가 1명씩이라도 중앙에서 보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이시종 충북지사는 “300평 규모에 깊이 6m의 대형 콘크리트 공동가축매몰지를 만드는 방안을 건의한다”며 “약 20억원이 소요되는데 돼지 9만마리를 매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성훈기자 pshoon@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