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지전’ 민관군 합동대응 체계 부재

■ 국지전·재난 대비 응급의료 체계 구축 국제학술대회 연평도 사태 관련 세부적 메뉴얼 필요성 제기

지난해 11월23일 발생한 북한의 연평도 포격 등 국지전 및 재난 등에 대비, 의료분야 민·관·군 대응협조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들이 제기됐다.

 

보건복지부가 10일 오전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한 ‘국지전 및 재난 대비 민관군 응급의료체계 구축 국제통합학술대회’에서 오원신 인천소방안전본부 팀장은 ‘연평도 포격과 소방 구조구급활동’ 제하의 주제 발표를 통해 “북한의 연평도 포격 당일 지원 준비를 다 마친 게 오후 3시20분이었는데 소방력이 실제 지원을 위해 출항할 수 있었던 건 밤 9시47분이었다”며 “지휘체계 혼선에 따른 소방력 지원 지연문제가 피해를 더 키웠다”고 주장했다.

 

송경준 서울대 의대 교수는 “군, 지자체, 소방, 경찰, 민간 의료기관 등의 협조경험 부족으로 재난 발생시 군·민의 정보 및 자원 소통이 단절되는 게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임용수 가천의대 교수도 “포격 사실을 접하고 비상 대기하면서도 언제 지원 출동해야 하는지, 어느 정도 준비해야 하는지 감을 잡을 수 없었다”며 신속 지시체계 부재를 꼬집었다.

 

이에 대해 국방부 유균혜 보건정책과장은 “북한의 포격에 대해 군은 메뉴얼대로 신속하게 대응했으나 민간 관련 부문에선 미비했던 점이 있었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군·민 연계 교육 도입 등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이날 북한의 도심 포격을 가상, KAIST와 서울대, 국군수도병원 등에 의뢰해 만든 국지전 시뮬레이션 결과, “오전 10시 북한군이 쏜 240㎜ 방사포탄이 송도국제도시에 쏟아지면 고층빌딩들이 붕괴되고 가스관이 터지면서 23명이 현장에서 사망하고 사상자 500여명이 발생하며 중상자 57명의 4분의 1에 해당되는 14명은 숨진다”며 “그러나 응급의료체계를 재난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개편할 경우, 중환자 사망률을 7%대로 낮춰 10명을 더 살릴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송영길 인천시장, 최원영 보건복지부 차관, 이용걸 국방부 차관, 박연수 소방방재청장, 조남수 대한응급의학회장, 이길여 길의료재단 회장 등 민·관·군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창수기자 cs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