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시민 여론조사후 결정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의 의견이 엇갈렸다.
시가 8일 오전 영상회의실에서 개최한 ‘수돗물 불소 농도조정사업 관련 시민사회단체 간담회’에서 배광학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는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사업’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불소화 사업은 충치 예방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며 “개인의 노력 없이 경제적으로 충치를 예방할 수 있는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박병상 인천도시환경생태연구소장은 ‘수돗물 불소화 누구를 위한 강제 의료행위인가’란 주제 발표를 통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불소화는 충치 해결만을 위한 최악의 강제적 의료행위”라고 주장했다.
하석영 인천대 겸임교수도 ‘수돗물 불소화는 옳은가’란 주제로 “수돗물은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누구에게나 안전해야 한다”며 “수돗물 불소화가 자칫 과도한 정수기 사용을 부추길까 우려된다”며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이 사업은 지난 1995년 최초로 시의회에 청원으로 제기된 이후 지난 2005년과 2008년 시의회 주관으로 모두 3차례에 걸쳐 시민토론회를 열었지만 충치예방 효과와 안정성 등에 대한 논란이 빚어지면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시는 이 사업과 관련, 오는 4월 중 구강 정책 방향 등을 결정할 구강보건자문회의를 재구성하고 상반기 중 시민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뒤 결정하기로 했다. 김창수기자 cs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