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째 제자리 ‘수석교사제’

지위·처우 등 법제화 작업 늦어져… 교사들 기피

‘수석교사제’가 시범 운영된 지 4년째로 접어 들지만 법제화 지연 등의 문제로 역량 있는 교사들이 기피, 여전히 학교현장에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24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가 올해 수석교사 인원을 대폭 늘리기로 하고 인천에 102명을 배정했지만 시 교육청이 목표한 70명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는 37명(초등 19명 중등 18명)이 선발됐다.

 

이마저도 중등의 경우 지난해 수석교사로 활동했던 12명 가운데 11명이 재응모, 그나마 체면을 세웠을 뿐이다.

 

‘수석교사제’는 우수한 교단 교사를 수석교사로 우대,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좋은 수업’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지난 2008년부터 시범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교육과학기술부가 매년 수석교사 인원만 늘려갈 뿐 이들의 지위와 역할, 처우 등을 명시한 법제화 작업은 늦어지면서 실력 좋은 교사들을 더이상 끌어들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수업시수 감축, 연구활동비 지원, 자격 취득에 따른 호봉 승급 등 수석교사에 걸맞는 예우가 현재로선 미흡한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수석교사의 주당 수업시간을 50%(주당 10∼12시간) 경감토록 했지만 이로인해 다른 교사들의 수업부담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고, 연구활동비도 넉넉하지 못하다.

 

A고교 수석교사는 “관리직 보다 더 매력적인 위상과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 교육청 관계자는 “수업시간 경감이나 연구활동비 지원 등을 점차 개선한다면 교수학습전문가로서 모델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