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고속道 ‘직선-간선화’ 선택 갈림길

국토부, 향후 관리권 이관 포기 등 요구… 인천시 직선화 구간 연결 허가 신청 반려

인천시가 경인고속도로 직선화사업과 간선화사업 가운데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 갈림길에 섰다.

 

24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04년부터 경인고속도로를 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까지 잇는 7.4㎞구간의 직선화사업과 경인고속도로 서인천IC~가좌IC 5.7㎞ 구간에 대한 관리권을 국토해양부로부터 넘겨받아 일반도로로 바꾸는 간선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정책조정회의를 통해 간선화를 위한 지하고속도로 건설비가 1조2천억원에 육박하자 우선 경인고속도로는 남겨둔 채 직선화구간과 왕복4차로부터 연결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지난해말 국토해양부에 고속도로 연결허가를 신청했다.

 

그러나 국토해양부는 ‘향후 경인고속도로 관리권 이관 포기’와 ‘경인고속도로 직선화 명칭 사용 금지’ 등 두가지 사항에 대한 확약을 요구하며 허가 신청을 반려한 것으로 확인됐다.

 

즉 경인고속도로와 직선화 구간을 연결하기 위해선 간선화사업을 포기하라는 것이다.

 

간선화사업을 위해선 반드시 국토해양부로부터 경인고속도로에 대한 관리권을 받아오거나, 당초 계획대로 고속도로를 지하로 건설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시가 두 사업 가운데 어떤 사업을 선택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간선화사업을 포기할 경우 인천을 동·서로 양분하고 있는 경인고속도로가 계속 존치돼 구도심 균형 발전의 발목을 잡고 각종 재개발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하다.

 

반면 직선화사업을 포기, 직선화도로가 경인고속도로와 직접 연결되지 않을 경우 입체도시를 표방하던 루원시티 도시재생사업도 흔들릴 수 있는데다, 청라지구 교통량이 모두 서인천IC로 몰려 심각한 교통난이 우려된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국토해양부가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에 대한 요구 압박 등으로 관리권 이관에 대한 반대 입장이 확고하다”며 “다음달까지 내부 방침을 정해 국토해양부 설득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