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운행 장담못해 개설 중단” 공사비·혈세 싸고 책임공방·법정다툼도 예고
인천시가 인천교통공사(공사)를 통해 추진하던 월미 은하레일 개설사업이 안전성 논란 끝에 결국 철거된다.
이때문에 이미 투입된 공사비 수백억원과 철거비용 등 혈세 낭비에 대한 책임 공방은 물론, 구상권 청구 등 법정 싸움도 벌어질 전망이다.
박규홍 공사 사장은 20일 “전문가들이 현재 은하레일에 대한 안전문제 등을 점검 중인데, 현재로선 안전운행을 장담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월미은하레일 개설사업을 중단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박 사장은 “시공사 문제로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해 개통되지 못할 경우 시공사가 모든 시설물들을 철거해야 하고, 모든 사업비에 대한 구상권 청구 등 소송절차에 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은하레일은 공사가 지난 2004년부터 853억원을 투입, 한신공영 측에 턴키방식으로 발주, 당초 지난 2009년 7월 개통할 계획이었지만 부실 시공에 따른 궤도공사 전면 재검토 등의 문제로 개통이 1년여 동안 지연돼 왔다.
지난해 4월 시범 운행 중 추돌사고에 이어 오는 8월에는 차량 지지대인 안내륜과 차량 하부 등이 부서지는 사고로 인해 시범 운행이 전면 중단되면서 개통이 무기한 연기됐다.
특히 공사 측은 최근 일본 전문가들의 약식점검 결과 열차의 무게 중심이 상층부에 있는데다 레일구조 결함으로 열차 운행 중 쏠림현상이 발생, 추락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내륜과 함께 필수부품 가운데 하나인 중심을 잡아 주는 안정륜이 설치되지 않는 등의 설계상 문제점을 추가로 발견, 조만간 정밀 점검을 의뢰할 방침이다.
은하레일은 사업비 이외에도 지난 2009년 인근 도로·경관정비 사업비 등까지 사실상 1천억원 이상의 혈세가 투입됐으며, 공사 측은 레일과 기둥 및 역사 등의 철거비용이 적어도 300억~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박 사장은 “시민들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더 이상 사업을 진행할 수 없다”며 “다음달 중 시의원들과 시민단체들을 비롯해 인천메트로와 도시철도건설본부 등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시민검증위원회를 통해 철저하게 검증, 오는 6~7월 최종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