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평화산업단지 조성 서둘러야”

인천시, 각계전문가 토론회 “평화적 이용…필요성 높아”

인천시가 강화군 교동면 일대에 3.45㎢ 규모로 평화산업단지 조성을 구상하고 있는 가운데, 서해 평화 정착을 위해선 평화산업단지 조성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인천시가 19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이종석 전 통일부장관 사회로 각계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한 ‘강화 교동 평화산업단지 조성 토론회’에서 홍익표 대외경제연구원 연구원은 ‘평화산단 개발방안 및 향후과제’ 제하의 주제발표를 통해 이처럼 주장했다.

 

홍 연구원은 “최근 남북관계 악화로 전쟁위기로 치닫는 상황에서 서해를 비롯한 남북접경지역의 평화적 이용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평화산업단지 조성은 2007년 정상회담 합의사항인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의 실행방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인천~개성~해주를 잇는 경제협력 3각벨트 시발점이 될 평화산업단지는 개혁·개방 및 안정적 노동력 확보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면 남북공동 이익에 기초한 새로운 경협모델 창출을 통해 한반도 평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승호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실장은 ‘서해 평화구상과 인천의 과제’ 제하의 주제발표를 통해 “경기도도 기존 개성공단과는 다른 컨셉의 남측 관리가 용이한 접경지역에 파주경제특구와 같은 산업단지 개발을 구상하고 있고, 강원도도 금강산관광지구와 연계된 특구를 구상하고 있다”며 “평화산업단지는 한강 하구를 끼고 내륙처럼 UN군 관할 비무장지대가 없다는 점이 큰 장점”이라고 지적했다.

 

서주석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최근 2차례의 군사충돌 경험을 털어 내고 평화와 번영, 협력과 상생 등을 위한 새로운 지역으로 탈바꿈하는데는 해주 경제특구 건설과 해주항 개발, 한강하구 공동이용 등의 내용을 담은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방안이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