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산업단지 지정해제 법적 검토
평택 브레인시티가 좌초 위기에 놓였다.
도일동 일대 500만㎡를 개발, 성균관대 제3캠퍼스 등을 조성하기로 했지만 부지 공급 가격 및 불투명한 사업비 조달계획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데다 개발에 참여한 평택시도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경기도와 평택시, 사업시행자인 브레인시티개발㈜ 등에 따르면 도와 시, 성균관대는 지난 2007년 6월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같은 해 12월 업무협약을 맺고 본격적으로 사업 추진에 나섰다.
이후 민간사업자로 참여한 ㈜브레인시티개발은 지난 2008년 마스터플랜을 마련한 뒤 산업단지 물량을 배정받았다. 또 지난해 3월 도로부터 산업단지계획을 승인받았다.
이와 관련, 자본금 5억원인 ㈜브레인시티개발은 평택시(20%)와 ㈜PSK브레인시티(40%), 청담CND(40%)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미 320억여원(이중 180억여원 미집행)을 인·허가 등에 투입한 상태다.
그러나 지속된 부동산경기 침체 속에 미군기지 이전 지연, 쌍용차 사태 등 지역 내·외 악재들이 겹친데다 성균관대 부지공급가격으로 발생한 사업성 부족 등으로 투자자들이 외면하면서 사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
당초 사업계획상 성균관대 제3캠퍼스 부지 165만여㎡ 중 공여부지(49만5천여㎡)을 제외한 115만5천여㎡의 분양가는 3.3㎡당 2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
이에 따라 토지보상금과 공사비 등 조성원가만 100만원으로 분석되는 만큼 성균관대 부지에서 발생하는 적자를 브레인시티내 산업단지와 택지개발에서 보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사업시행자로 참여한 평택시가 최근 브레인시티의 산업단지 지정해제 및 사업시행자 임의변경 등에 대한 법적 검토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PSK브레인시티가 일본 리딩증권과 미국 모건스탠리사로부터 각각 3천900억원, 4천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는 방안을 추진하는 한편 국내 미래에셋증권과 투자협의 중이지만 이를 신뢰할 수만은 없다는 판단에서다.
김선기 시장은 “브레인시티개발이 원활히 추진돼야 한다”면서도 “연내 보상토록 종용하고 있지만 현재 상황을 고려하면 어렵지 않겠냐”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브레인시티개발㈜ 관계자는 “평택시가 사업을 추진할 때 사업성보다 향후 발전 가능성을 보고 추진한 것인 만큼 브레인시티 사업은 긍정적으로 검토돼야 한다”며 “현재 지장물 조사를 위해 토지출입을 제한하는 등 사업계획에 따라 정상적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평택=최해영기자 hychoi@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