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추가편입 요구… 국토부·도개공 “사업지구 설정 기준 안맞아”
3차 보금자리주택 단지인 구월지구에 포함되지 못한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300 일대 판자촌 주민들이 구월지구 재 편입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16일 구에 따르면 구월동 300 일대는 지난 1960년대 후반 생겨난 판자촌으로 한때는 거주 인구가 170가구에 이르렀지만 현재는 20여가구만 남아 있다.
주민들은 지난해 5월 구월·수산동 일대가 3차 보금자리주택 지구로 지정되면서 재개발 지역에 포함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결국 사업지구에서 제외됐다.
주민 이모씨(65·인천시 남동구 구월동)는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보금자리주택 사업을 추진하면서 최종 사업지구와 불과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는 10평(30㎡) 남짓의 좁은 무허가 판자촌을 제외하는 건 사업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주민 정모씨(63·인천시 남동구 구월동)도 “이 일대에 대한 개발을 시작하려면 3천㎡에 불과한 판자촌 동네도 포함시켰어야 한다”며 “바로 옆에는 새 아파트가 들어서는데 우리만 계속 판자촌에 살 수는 없는 만큼 재 편입을 시켜줘야 한다”고 말했다.
구도 보금자리주택 사업승인권자인 국토해양부와 사업시행자인 인천도시개발공사 등에 대해 해당 지역 사업지구 편입을 요청했지만, 국토해양부와 인천도시개발공사 등은 사업지구 설정 기준에 맞지 않는다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인천도시개발공사 관계자는 “구월동 300 일대 주민들 사이에서 사업지구 편입 요청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업지구 추가 편입과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결정된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해당 지역의 특수성을 감안, 사업지구 추가 편입을 사업 시행자와 승인권자 등에게 지속적으로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보금자리주택 구월지구는 남동구 구월·수산동 일대 84만1천㎡에 오는 20015년까지 조성되며 도시형 생활주택 101가구와 공공주택 5천917가구 등 6천68가구가 들어선다.
류제홍기자 jhyou@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