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의 교육의원 “도교육청, 자연감소에만 의존… 과학적 실태 분석 필요”
경기도교육청이 학급당 학생 수를 25명 이하로 추진하고 있는 혁신학교와 달리, 일반 학교에서는 별다른 대책 없이 여전히 자연 감소에 의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13일 경기도의회 최창의 교육의원에 따르면 최 의원이 도교육청의 학급당 학생 수 정원기준 및 계획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초등학교의 경우 동지역만 지난해보다 1명 줄여 35명을 편성했고 읍·면지역은 35명으로 지난해와 같다.
중학교는 지난해와 같이 동지역 39명, 읍지역 38명, 면지역 35명을 편성했으며 고등학교는 도시과밀지역에서 1~2명씩 감축할 계획이나 농촌지역 일부 시·군은 오히려 1~2명씩 늘어난다.
이와 함께 초등학교는 해마다 1~2명이 감소했으나 중학교는 5년 전부터 읍·면 지역 35명, 동지역 40명 수준을 유지해오다가 지난해에 들어서야 동지역 1명을 줄였다.
고등학교는 초·중학교와 달리 시·군별로 학급당 학생 수 기준을 차별화하고 있으나 5년 전과 다를 바 없이 최저 33명(양평)에서 최고 42명(안산·용인) 수준이다.
초등학교의 경우 저출산에 따른 자연 감소로 35명선으로 줄어들고 있으나, 중·고교는 해가 바뀌어도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지 못하고 39~40명선을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학기초 학급편성이 끝나고 나서 전입생이 늘어날 경우 급당 학생수가 평균 4명이 추가로 늘어 최대 44명선의 과밀학급이 될 수 있으며, 개별 인성 지도와 수준별 학습, 토론협력 수업 등이 불가능해진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을 위한 교육청 차원의 과학적인 실태 분석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과밀 학급, 과대 학교가 전국 최고 수준인 도교육청이 교사 수급 및 시설 증축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대책을 강력하게 요구해야 한다”며 “올해 초·중학교의 경우 학급당 학생 수 기준을 고교처럼 지역별로 교실 수 여건에 따라 달리하면 상당수 시·군이 1~2명씩 추가로 감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