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도내 12만가구 그쳐 집값도 상승 예상
올해 경기도 주택공급물량이 급감할 전망이어서 전세난이 심화될 전망이다.
1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가 최근 시·군과 공기업을 대상으로 주택공급물량을 조사한 결과, 올해 공급가능한 주택은 민간 6만3천호, 공공 5만7천호 등 12만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공급량(14만호 추정-공공, 민간 각 7만호)에 비해 2만호(공공 1만3천호, 민간 7천호 감소)나 적은 규모다. 도는 지난해 15만9천호(공공 9만1천호, 민간 6만8천호)를 공급할 예정이었지만 부동산 경기침체로 공급된 물량은 목표량의 88% 수준이었다.
이에 따라 올해 주택공급물량은 지난해 당초 계획에 비해선 25%(3만9천호)나 급감했다. 경영난을 겪고 있는 LH가 공공주택 물량을 대폭 줄인데다 민간 건설업체도 부동산 경기침체와 분양가상한제를 이유로 공급물량을 줄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도는 최근 이같은 내용의 경기도 주택공급계획을 국토해양부에 제출했으며 국토부는 내부 검토와 주택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4월께 전국 시·도 주택공급물량을 확정할 예정이다.
도는 국토부가 올해 시·도별 주택공급물량을 통보해오면 주택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공급물량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이같은 공급량 감소는 결국 주택가격 상승뿐 아니라 최근의 전세난을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도 관계자는 “수요조사 결과, 올해 주택공급물량이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최근 부동산시장이 점차 살아나고 있고, 정부가 올해 안에 분양가상한제도를 개선할 예정인 만큼 공급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동식기자 ds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