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초’ 만난 서해안종합개발 그린카·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 조성 등 불투명
경기도가 경기만 일대를 글로벌 경제의 관문이자 환황해권 네트워크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서해안 발전 종합개발계획안을 확정해 발표했으나 정부가 화옹·대송지구내 간척지에 대한 용도변경 불허 방침을 고수, 반쪽짜리 사업으로 전락할 위기를 맞고 있다.
12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달 29일 36개 사업 7조261억원 규모의 서해안권 발전 종합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종합계획에는 서해안권 일대에 ▲국제비즈니스 거점 및 환황해 협력체계 조성 ▲초일류 첨단산업벨트 구축 ▲글로벌 해양생태·문화관광벨트 조성 ▲역내·외 연계 인프라 구축 등의 사업을 오는 2020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도는 이번 종합개발계획안에 화옹·대송지구내 간척지를 활용, 우선 화옹간척지 제4공구 795ha에 내년부터 오는 2013년까지 총 4천954억원을 투자해 한우연구시설, 임상동물실험시설, 실내·외 승마장, 말 인공수정센터, 말 연구소, 아쿠아리움, 씨푸드 센터 등을 갖춘 바다농장을 조성키로 했다.
도는 또 이들 간척지내에 그린카 연구개발단지 조성사업·푸드&바이오 연구개발단지 조성사업(이상 화옹지구), 대부·선감 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 조성·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조성·에어파크 조성(이상 대송지구) 등 5개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화성 바다농장 사업을 제외한 이들 5개 사업의 경우 국토해양부와 도가 서해안 종합개발계획안을 발표했는데도 불구하고 농림수산식품부가 농어촌정비법 등의 명목으로 100% 농지용도로만 사용하도록 하는 입장을 고수, 사실상 복합용지로의 용도변경 추진이 불투명한 상태다.
더욱이 농림부가 향후 이들 간척지에 대한 용도변경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 도가 추진하려던 큰 틀의 종합발전계획에서 ‘초일류 첨단산업벨트 구축’ 사업 추진이 어려워지면서 사업 수정은 물론 서해안 종합계획의 반쪽짜리 추진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국토부의 종합개발계획에도 불구하고 화옹·대송지구에 대한 농림부의 용도변경 불허 방침에 대한 변화는 아직까지 없다”면서도 “농림부 및 국토부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단계적으로라도 이들 간척지를 활용한 개발계획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