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유·무의지구 보상비 늘어 사업성 더 악화”

외국계 투자사들 발 뺀다

‘깡통건물’ 난립에 보상비 5조원 육박 ‘외자유치’ 난항

 

인천시가 용유·무의 문화·관광·레저복합도시 조성을 추진하면서 수년 동안 외국계 투자회사들의 투자만 기다리다 속칭 ‘깡통 건물’들만 난립되면서 보상비 급증으로 사업성만 악화시켰다는 지적이다.

 

12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03년부터 영종도 내 24.4㎢에 독일 캠핀스키(Kempinski)로부터 투자를 유치, 호텔리조트와 마리나 시설 등을 짓는 용유·무의 문화·관광·레저복합도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시가 지난 2006년 캠핀스키와 협약 이후 수년 동안 투자약속만 믿고 방치, 보상비가 1조원 이상 늘어나면서 사업성이 악화됐다.

 

시가 지난 2007년 9월부터 지난 2008년 3월까지 잠시 건축제한조치가 풀리면서 이전 매월 10여건에 불과하던 건축허가가 7개월 동안 560건(월평균 80건)이 접수되는 등 급증, 보상을 노린 ‘깡통건물’들만 우후죽순 들어섰기 때문이다.

 

이에 보상비가 5조원에 육박, 전체 사업비에 절반 이상을 차지하면서 총사업비도 당초 예상했던 9조원에서 10조2천억원으로 늘어났다.

 

최근 인근 영종 미개발지도 같은 현상으로 보상비가 늘면서 사업성이 악화돼 경제자유구역 해제가 결정된 것과 같은 상황이다.

 

여기에 인천도시개발공사(도개공)도 이미 주민들과 함께 구성한 PMC에 투입된 5천900만원 이외에 향후 시행자가 될 특수목적법인(SPC)에 대해선 더 이상 자본을 투입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등 사실상 발을 뺐다.

 

이춘희 도개공 사장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계속 사업에 참여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PMC가 구체적인 계획이나 재원조달계획이 없는 상태이고 현재 도개공의 재정상태로는 신규 사업에 투입할 자금의 여력이 없다”며 “단계별로 나눠 호텔 등 작은 규모부터 추진해 나가는 게 옳다”고 말했다.

 

도개공은 SPC에 참가하지 않는 대신 기존 투자비는 남기고 공공관리자(PM) 역할이나 토지보상 대행 역할만 수행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당초 구역별로 개발하려다 통합 개발로 바뀌면서 잠시 건축제한을 풀었는데, 상황이 악화됐다”며 “도개공 등이 사업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외자 유치가 더 어려워지는만큼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