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대청 포함 4개권역
2017년까지 50억원 투입…어민들 “안정적 어업소득 기대”
오는 2017년까지 50억원이 투입돼 백령·대청도 연안해역에 쥐노래미와 조피볼락, 전복, 해삼, 다시마, 넙치 등을 키우는 112㏊ 규모의 바다목장이 조성된다.
백령·대청을 포함한 서해5도서에는 권역별로 나눠 수산자원을 활용한 특성화사업도 추진된다.
옹진군은 6일 회의실에서 조윤길 군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같은 내용들을 담은 연안바다목장 조성사업 기본계획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연구용역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주관하고, (사)한국수산증·양식기술사협회가 지난 1년여 동안 기본계획(안)을 만들었다.
이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바다목장과 특성화사업은 백령·대청권과 연평권, 영흥·자월·덕적권, 북도권 등 4개 권역으로 나눠 추진된다.
백령·대청권역의 경우 백령도 북동쪽 진촌어촌계 해역과 대청도 남동쪽 옥죽어촌계 해역에 112㏊ 규모의 바다목장이 조성된다. 바다목장에선 쥐노래미와 조피볼락, 전복, 해삼, 다시마, 넙치 등이 양식된다.
연평권에는 수산물 전시장과 함께 꽃게, 가리비, 김 명품단지가 조성된다.
인천국제공항을 포함한 북도권은 식품가공 클러스터와 함께 해양·레저·낚시공원 등이 들어선다. 영흥·자월·덕적권은 굴·바지락 명품단지로 특화된다.
바다목장과 서해5도서 권역별 특화사업은 내년부터 오는 2017년까지 국비와 지방비 각각 25억원씩 모두 50억원이 투입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해 1월 경남 통영 앞바다를 수산자원관리수면으로 지정, 볼락과 감성돔 등을 양식하는 통영바다목장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군은 이번 바다목장 사업으로 어선어업 채산성 악화를 극복하고 서해북방한계선(NLL)의 안보 불안에 따른 조업 부진 등을 만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수협중앙회가 지난 2009년 백령면과 대청면 어민들의 가구별 평균 소득을 조사한 결과, 어민들의 연간 평균 소득은 1천700만~2천5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군 관계자는 ”관광자원과 연계하고 불안정한 어업소득을 바다목장사업에 따라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소득으로 전환하는 게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창열기자 tree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