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살처분 공무원 대부분 하루지나 업무복귀
道 “아직 별다른 문제없어”
경기도내 최대 축산단지인 안성으로까지 구제역이 전파된 가운데 구제역 살처분에 동원된 경기도 공무원들이 정부의 복귀 후 5일간 자택 격리지침을 어기고 곧바로 업무에 복귀, 논란이 일고 있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22일부터 5일까지 도내 구제역 발생지역에 살처분 지원을 나간 도 본청 공무원은 파주 140명, 연천 70명, 김포 150명 등 360명에 달한다.
또 도2청에서도 5차례에 걸쳐 104명이 구제역 살처분 지원에 투입됐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살처분 현장에 동원된 공무원들이 다른 곳을 절대 경유하지 않고 자택으로 곧장 가야 하며, 복귀 시점으로부터 5일간 출근을 포함한 모든 외출을 금지하고 자택에 있어야 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이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외부에 노출될 경우 5일이 지나야 사멸되기 때문으로, 자칫 의복과 신발 등에 묻은 바이러스로 구제역이 전파될 수 있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조치였다.
하지만 살처분에 동원된 대다수의 도 공무원들은 정부의 이같은 지침과는 달리 복귀 후 1일간의 공과를 얻은 뒤 바로 업무에 복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북부지역에 동원된 충청지역 46명, 전라지역 38명 등 84명의 타 지역 공무원들은 해당 지자체로의 구제역 유입을 막기 위해 복귀 시점으로부터 5일간 강제 격리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소속 지자체로부터 하루 두차례 지침을 잘 지키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 전화까지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수의과학검역원 관계자는 “바이러스가 외부에 노출될 경우 사멸되는 기간인 5일간은 격리돼야 한다”며 “구제역의 중요한 전파 요인 중 하나가 사람의 이동이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동원된 직원들이 철저한 소독 절차 등을 받았다”며 “도 업무의 성격상 수백명에 달하는 인원이 5일간 출근하지 않을 경우 업무에 지장이 초래될 수 있으며 아직까지 별다른 문제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김동식·김규태기자 kkt@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