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도내 화장장 건립

연천·안산·시흥·김포 등 주민들 거센 반발에 차질

경기도 전역에 걸쳐 장사시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각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화장장 건립 사업이 주민 반대 등에 부딪쳐 곳곳에서 차질을 빚고 있다.

 

4일 도내 시·군에 따르면 연천과 안산, 용인 등 3개 시·군이 장사시설 입지를 선정한 가운데 착공단계에 이른 곳은 용인 한곳에 불과하며, 다른 지자체들은 지역내 반발로 입지를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장사시설 입지를 선정한 연천군은 청산면 장탄리에 종합장사시설을 짓기로 하고 화장장 시설 결정과 실시계획 인가 용역을 앞두고 있지만 주민들이 환경오염과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을 이유로 반대에 나서면서 현재 답보상태다.

 

또한 사업비 185억원 중 국·도비 48억원을 제외한 비용을 군에서 확보해야 하는 등 재정적 부담에다 수도권에서 거리가 떨어진 입지 특성에 따른 수요 미비까지 우려되고 있다.

 

안산시는 지난해 12월 상록구 양상동 일원을 후보지로 확정하고 민관협의체를 구성키로 했었지만 지역주민이 거세게 반대하면서 협의체 구성에 난항을 겪고 있다. 시는 1월까지는 협의체를 구성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주민들은 후보지 위치가 신안산선이 지나는 등 교통요충지인데다 여론조사 과정을 믿을 수 없다며 대화를 거부하고 있다.

 

안성시는 관내 25곳의 기존 공동묘지 중 연고 없는 분묘가 많은 곳을 선정해 납골당, 자연장지 등을 갖춘 추모공원으로 재개발하는 안을 검토 중이지만 지난 2007년 송천공원묘지 재개발 사업이 주민반발로 무산된 바 있어 입지선정에 애를 먹고 있다.

 

시흥시도 추모공원설치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장사시설 마련에 나섰지만 5년 전 정왕동 일대에 광역화장장을 추진하다 백지화된 경험이 있어 입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김포시도 지난 2008년 용역을 진행했으나 3년째 용역을 마무리짓지 못한 상황이며, 양주시는 화장장 사업 추진방식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부천시의 경우 지난해 7월부터 인천시와 부평화장장을 공용하는 방안을 내부협의 중이지만 5개월 동안 별다른 진척이 없다.

 

이처럼 지자체마다 추진이 늦어지는 것은 주민들의 격렬한 반발과 함께 민선단체장들이 지역 여론에 민감하게 반응, 추진력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주민들이 화장시설의 필요성은 절감하면서도 내가 사는 주변에는 안 된다는 인식 탓에 추진이 어렵다”면서도 “화장률이 오르는 등 화장에 대한 주민정서도 바뀌고 있는 만큼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박성훈기자 pshoon@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