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대·중소기업 상생을 독려하고 가이드라인을 만들거나 감시 체제를 가동시키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기업과의 관계를 조정하고 개선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중소기업이 부족한 것을 스스로 갖추도록 도와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중소기업이 글로벌 중견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을 생산하거나 자체 기술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런 기술력을 확보하는데는 R&D에 대한 투자가 필수다. 코스닥 전체 기업 매출액 대비 R&D 비중이 2.7%, 이중 히든 챔피언 기업의 투자 비중은 4.7%에 달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우리 중소 제조업체들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은 1.26% 밖에 되지 않는다. 전체 중소기업 중에서 R&D 투자를 하는 기업이 30%도 안되는 실정이다.
R&D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절실해지는 지금 우리 중소기업들은 자체연구소나 전담부서도 없거나, 조직은 있어도 기술개발비는 전혀 투자를 않고 대기업이나 외국기업 베끼기만 하는 수준으로 버티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소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R&D와 인력·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해오고 있다. 정부의 R&D 투자규모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연평균 12.2%나 되는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정부의 올해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 예산은 지난해 보다 12% 이상 늘어난다. 중소기업청은 지난 해보다 3.9% 늘어난 1조5천331 억원을 올해 사업 운용에 집행할 계획이며, 이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문은 ‘산업기술 지원’으로 6천588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산업기술 지원 사업 중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데 6천288억원을 사용할 예정이다.
이와 같이 중소기업 R&D 지원에 대한 정부의 노력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신제품·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개발 자금부터 연구 인프라를 갖추기 위한 고가 연구장비 지원, 대학·연구소 등과 산학협력을 통한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에 필요한 R&D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인들도 자금 부족만을 탓할게 아니라 이러한 정부지원에 대한 정보들을 잘 파악하는 일도 중요할 듯하다. 중소기업 스스로가 각종 사업안내, 추진일정, 지원과제 공고일정 등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정부 지원과 더불어 중소기업 모두가 아낌없는 R&D 투자로 기술과 품질에서 경쟁사들을 압도할 수 있는 기술혁신역량제고 노력 또한 절실하다.
김성용 경기중기청 시험연구지원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