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버스전용차로제 대신 ‘시속 60㎞로’

市, 내년부터 ‘보행자 중심’ 도로 개선·신호기 시설정비 등 교통안전에 주력

인천시가 내년부터 도입하려던 중앙버스전용차로제를 백지화하고, 대신 도심 주요 도로를 시속 60㎞로 제한하는 등 교통안전수준 향상에 총력을 기울인다.

 

시는 30일 건설교통국의 내년 주요 업무보고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

 

시는 당초 경인남동로·부평계양로·서곶로·경명로·인주로 등 시내 간선도로 5곳과 경인고속도로 서인천IC~신월IC에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입을 추진, 내년부터 타당성조사 및 기본·실시설계를 추진한 뒤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었다.

 

하지만 송영길 시장은 이날 “현재 서울처럼 극심한 교통정체가 빚어지지 않고 있는데다, 섣불리 도입할 경우 자칫 승용차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만 커질 수 있다고 판단,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시는 송 시장의 100대 공약에도 중앙버스전용차로제 도입을 담으려 했으나, 송 시장이 같은 이유로 반대해 공약에서도 빠져 사실상 백지화됐다.

 

시는 대신 현행 시속 60~80㎞인 도심 주요 도로 속도를 시속 60㎞로 제한하고 보행신호시설과 음향신호기 등을 정비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로 했다.

 

시는 이와 함께 도로점용 공사시 각종 교통관리대책을 세우는 내용을 담은 조례를 제정, 교통안전수준을 향상시키기로 했다.

 

시는 강화와 옹진 일대 교통사고 빈발지역 5곳과 위험 도로 등에 대해 각각 14억원과 39억원을 들여 선형개량과 도로구조 등을 추진하고 버스 정보시스템(BIS)과 첨단 교통관리시스템(ATMS) 등도 구축, 교통 혼잡을 줄이기로 했다.

 

청라~강서간 간선 급행버스(BRT)는 자전거도로와 작전역 고가 차도를 제외해 1천292억원이던 사업비를 절반으로 줄여 추진되고 인천~개성·해주 및 인천~충청간 등 서해경제 대동맥 도로망 구축도 본격화된다.

 

시 관계자는 “차량 증가로 매년 도심 교통혼잡비용이 늘어나고 있는만큼, 승용차 요일제를 활성화, 대중교통 이용을 늘리겠다”며 “특히 교통사고를 줄이고 보행자 중심의 친환경 교통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