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도심 전통과 어울린 도시 건설”

市, 내년 개발방식 ‘어울림-자족형 복합도시’로 전환

도시개발방식이 내년부터 구도심의 역사·전통과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전환, 추진된다.

 

인천시는 29일 도시계획국에 대한 내년 주요 업무보고를 통해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는 ‘어울림 도시’와 ‘자족형 복합도시’ 등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우선 동인천역 주변 도시재생사업은 당초 전면 공영개발방식을 환지방식과 민간 주도의 정비사업 등으로 바꾼 뒤, 배다리 등 지역 내 역사·문화지구는 남겨두고 개발하기로 했다.

 

시는 내년 1월 중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계획을 확정한다.

 

도화구역 도시재생사업도 내년 1월까지 전면 재개발방식에서 옛 인천대 건물 일부를 철거하지 않고 기존 지형을 보존하는 방식으로 바꿔 역사·상징성을 고려한 방향으로 개발계획을 변경, 내년 하반기 중 착공할 계획이다.

 

검단신도시는 중앙대와 법원·검찰(인천지법 서부지원·인천지검 서부지청) 등을 유치하고 상업업무복합단지인 비스타폴리스를 조성하며, 루원시티 도시재생사업도 수요창출형 상업시설 도입 등 내년 4월까지 개발계획을 변경, 베드타운이 아닌 자족형 복합기능을 갖출 방침이다.

 

지지부진한 재개발사업은 정비기금 13억원을 투입, 각종 계획이나 재건축 안전진단비 등을 지원해주고 도시분쟁조정위원회를 설치, 주민들간 갈등을 조정해 민간개발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밖에 경인고속도로 직선화사업 1공구는 내년 2월까지 국토해양부로부터 연결허가를 받아 하반기 착공하고, 제3연륙교와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은 영종·청라·검단·북항지구 개발이익 7천800억원으로 추진된다.

 

송영길 시장은 “각종 개발사업들이 지연될수록 재산권 침해 등 주민들의 피해만 커지는만큼, 불필요하거나 문제가 있는 사업들은 빨리 정리,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민간개발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시가 최대한 지원, 주민들이 원하는 역사·문화가 공존하는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