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영·유아 식량 지원 등 사실상 중단
최근 남북관계가 악화돼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중단되면서 경기도는 남북교류협력사업 대신 새터민 지원 등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기로 했다.
22일 도2청에 따르면 도는 지난달 말 연평도 포격에 도 재정 어려움이 겹치면서 지난 2001년 남북교류협력조례 재정 이후 매년 도비 출연으로 증자해 온 영·유아 식량 전달 등을 위한 150억원의 기금에 대한 추가 출자를 기약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도의 지원을 받아 황해도에 고구마 농장을 조성해 온 여주군도 그간 진행해 온 금전적 기술적 지원을 전면 중단했다.
이처럼 그동안 진행돼 온 인도적 대북지원 사업이 전면 중단됨에 따라 도는 대북지원 전문가 강의 및 자문수당 등을 줄이고 정부와 타 지자체, 민간단체 등 남북교류사업 주체 간 정보를 교류하거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등 남북교류협력의 현상 유지에만 주력할 방침이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사업의 경우 사업비가 확대됨에 따라 새터민 사회생활 전문기술 취업과 새터민 영유아 보육교사 지원이 강화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에 대한 운영 지원을 통해 새터민들이 지역실정에 맞는 취업 등을 할 수 있도록 초기교육을 실시한다.
특히 도는 한국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추진에도 내년도 예산이 처음으로 배정됨에 따라 납북피해 진상규명과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한 지원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도2청 관계자는 “지난달 연평도 포격도발로 대북지원이 전면 중단됨에 따라 정부의 승인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태인 만큼 당장에는 새터민, 납북자들을 위한 지원사업에 치중할 것”이라며 “남북관계는 언제 어떻게 변할 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향후 개선될 경우 곧바로 교류협력이 이뤄지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훈기자 pshoon@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