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구제역 차단’ 비상체제 돌입

김포 농가 확진 판정… 방역초소 17곳 늘리고 농장 진입로 방역 나서

구제역이 인천과 인접한 김포에까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가 비상체제에 돌입하는 등 방역에 초 비상이 걸렸다.

 

시는 22일 김포시 월곶면 갈산리에서 돼지를 사육하는 홍모씨 농가에서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내려짐에 따라 경계지역(10㎞ 이내) 내 우제류(발굽이 두개로 갈라진 동물) 사육농장에 대해 이동제한조치를 내렸다. ★관련기사 3면

 

이동제한 대상은 홍씨 농가와 경계지역에 포함된 강화군 선원면 농가 227곳의 소와 돼지, 사슴, 염소 등 모두 1만559마리이다.

 

시는 특히 구제역 유입을 막기 위해 강화를 비롯해 계양구와 남동, 중구, 서구 등을 중점 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가축의 이동을 막는 한편 현재 방역초소 5곳을 17곳(강화 7곳·계양 6곳·서구 3곳·남동 1곳)으로 늘리고 축산농장 1천59곳에 대해선 외부 차량 진입 차단과 함께 진입로를 방역하고 있다.

 

시는 100여명으로 구성된 전담반과 읍·면 담당 공무원, 수의사 등을 투입해 임상 관찰하고 있으며 서구 가좌동 도축장에 대해선 구제역이 끝날 때까지 구제역 발생지역 축산물 도축과 반입 등을 금지시켰다.

 

시는 이와 함께 구제역 차단 방역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외곽순환도로와 초지 및 강화대교 등에 설치된 이동통제 및 방역초소 17곳 운영(24시간 3교대)에 따른 소요 예산 9억5천여만원의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

 

시 관계자는 “각 농가에 철저하게 방역해달라는 내용을 담은 문자메세지를 전송하는 등 구제역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김창수기자 cs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