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영종~강화 연결도로 ‘일단 멈춤’

市 “개발이익 장담 못해”…민자사업 포기 국비 전환

국토부 “중복투자 가능성” 부정적… 백지화 전망도

인천시가 민자 사업으로 추진하던 영종~강화 간 도로 연결공사를 전액 국비사업으로 전환, 추진키로 결정했다.

 

하지만 국비사업으로 진행되기엔 실현 가능성이 떨어져 사실상 백지화가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22일 시에 따르면 ㈜포스코건설은 옹진군 신도·시도와 강화도 일부 등 16.5㎢를 개발해 나오는 이익금으로 총 사업비 1조90억원을 투입, 길이 14.638㎞ 너비 29m 왕복 4차선 규모의 영종~강화 간 도로연결공사를 추진, 지난 5월 기공식을 가졌다.

 

그러나 시는 최근 부동산경기 침체와 현재 지역의 주택 초과 공급 등으로 개발이익을 장담할 수 없어 자칫 장기화될 우려가 높은만큼, 민자사업을 포기하고 전액 국비사업으로 전환키로 했다.

 

시는 이 도로가 대북 교류의 전진기지가 될 강화 교동도 평화산업단지 등과 연계한 전략적인 교통망이라는 점과 서울로 집중된 서해안고속도로 교통량을 분산시킬 수 있는 점 등을 강조, 현재 국토해양부가 수립하고 있는 ‘2020 중앙도로정비기본계획’에 국도 반영을 요구했다.

 

반면 국토해양부는 경제성이 없고 강화·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사업 방조제 도로와 중복돼 매우 부정적인 입장이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시로부터 의견을 받아 검토하고 있지만, 여객수송·물류량·교통량 등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보여 반영 여부는 미지수”라며 “만약 계획에 반영되더라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검토도 거치는만큼, 남북 교류라는 정책적 요인만으로 국비 사업으로 추진되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시가 민자사업에서 시비사업도 아닌 국비사업으로 전환한 것을 두고 사실상 이 사업의 백지화 수순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시가 사전에 국토해양부와 의견 조율을 통해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점을 알면서도 이처럼 결정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현재로선 민자사업도 어렵고 막대한 사업비를 시 예산으로 감당할 수도 없지만, 이 도로가 송영길 시장의 공약이어서 당장 포기하기 보다는 중·장기 사업으로 변경했다”며 “전액 국비사업으로 될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국가 정책에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